루돌프 불트만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1884-1976) (1)  불트만은 바르트와 틸리히의 동시대 사람으로 당시 이들 못지 않게 신학적 명 성을 날렸다. 그의 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먼저 우리는 실존주의 철학을 알 아야 할 것이다. 특히 그는 마부르그 대학에서 같이 교수로 일했던 실존주의  철학자, 마틴 하이데거(M. Heidegger)에게...

조병수교수의 목회서신 연구(8)-어긋남

 어긋남 (딤전 1:6-7)  조병수 교수/ 합신(신약신학) 어긋남은 인간의 본성가운데 하나이다. 앞으로 가려하지만 뒤로 가고, 올라 가려고 하지만 내려가는 것은 인간이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속성의 일부이 다. 오죽하면 사도 바울까지도 고통스럽게 고백했을까. "내가 원하는 바 선 은 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원...

조병수교수의 목회서신 연구(7)-더욱 근본적으로

  (딤전 1:5) 더욱 근본적으로  동력이 없으면 동작도 없다. 그래서 동작보다 더 근본적인 것은 동력이다.  사도 바울은 디모데가 어떤 사람들에게 명령을 하도록 에베소에 머물게 하였 다. 디모데의 명령은 다른 교훈을 가르치지 말라는 것이다. 그러면 디모데가  이런 명령을 내리는 근본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그것은 사랑...

칼바르트6

정승원교수의 현대신학해설 먼저 여러 독자분들께 주의 이름으로 문안드립니다. 2001년 새해를 맞이하시 면서 귀댁과 섬기시는 교회에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이 넘쳐나기를 기도합니 다. 그 동안 현대신학 해설을 애독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우리 보수 진영에 서는 '현대 신학' 혹은 '자유주의 신학' 하면 무조건 멀리합니다. 물론 이런  자세도 좋다고 생...

칼바르트5

정승원 교수 (4) 바르트의 역사관 -계속 이 전호에 이어 바르트의 역사관을 좀 더 살펴보기로 하겠다. 이미 살펴 본  바와 같이 바르트는 두 종류의 역사를 말한다. '일반 역사'(Historie)와 '초  역사'(Geschichte)이다. 후자가 바로 진정한 의미의 역사라고 한다. 즉 창조 나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등 성경의 사건들이 우리 구...

칼바르트4

지난호에 이어.. 정승원 합신(조직신학) 교수 바르트의 역사관 바르트의 계시 개념과 더불어 그의 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꼭 알아야 할 것 이 바로 그의 역사 개념이다. 바르트가 '역사'라고 할 때는 단지 우리가 갖 고 있는 역사 개념이 아닐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는 두가지 역사  개념을 말하기 때문이다. 즉 일반 역사(Hist...

칼바르트3

지난호에 이어... 정승원 교수 2) 바르트의 계시관 및 신관 먼저 지난호에 언급한 바르트의 계시관에 대해 다시 요약 설명하자면 그 의 '계시'는 한마디로 그의 '초월적 하나님'이 어떤 인간적인 요소(언어, 시 간적 역사를 포함하여)를 통하지 않고 역사속에 바로 나타나는 방편인 것이 다. 그래서 바르트는 계시를 "위에서부터 바로 내려지는...

칼바르트2

지난호에 이어 1) 바르트의 계시관 먼저 바르트의 계시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의 대작 「교회 교의 학」(Church Dogmatics)은 크게 4권으로 (세밀하게 나누면 13권이 된다) 되어 있는데 (원래 제 5권까지 쓰기로 했으나 그의 생전에 완성하지 못 했다) 그 중 첫 권이 바로 '하나님의 말씀에 관한 교리'이다. 그의 신학을 한마디로 말...

칼 바르트

정승원 교수 칼 바르트 (Karl Barth, 1886-1968) 이번 호로 시작하여 여러 호를 거쳐 바르트 신학을 다루고자 한다. 그 이유는 바르트 신학이 기독교에 끼친 영향이 매우 컸기 때문이요, 무 엇보다도 보수 신학에 끼친 부정적 영향 때문이다. 그의 신학의 까다로움 과 애매함으로 인해 많은 복음 주의자들은 그를 자기 진영으로 생각해 ...

키에르케고르

<정승원 교수의 현대신학해설> 키에르케고르 (Kierkegaard, 1813-1855) 보통 '키에르케고르' 하면 자유주의 신학자 보다는 복음주의 신학자 로 통한다. 물론 그의 신학에 긍정적인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복음주의 신학자로 불리우기에는 그의 신학에 비성경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있다. 또한 그의 신학은 여러 현대 신...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