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에 비유한 세상_이은상 목사

동물에 비유한 세상 이은상 목사/ 동락교회 1970년대 '행복의 나라'라는 노래로 통기타와 자유의 청년문화를 구가하던  한 젊은 가수가 오십을 넘긴 나이에 쓴 자서전의 제목이 재미있어서 불러봅니 다. '사는 것도 제기랄, 죽는 것도 제기랄.' 물론 영원한 하나님 나라를 소망 하는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 말이지만 요즈음 같이...

첨단 기술과 이웃 사랑

첨단 기술과 이웃 사랑 김영규 목사/ 뉴욕학술회원, 남포교회 협동목사 요즘 미래 사회로 유비쿼터스 사회에 대한 강조가 있다. 그러나 그런 사회는  미래 사회가 아니라 이미 90년대에 시작된 현재 사회이다. 문제는 한국 사회 가 그런 사회로 가는데 필요로 하는 원천 자료나 원천 기술에 대한 해외 의존 도가 너무 크다는 데 있다.  최...

파리의 연인_이은상 목사

파리의 연인 이은상 목사/ 동락교회 '애기야∼'와 같은 로맨틱, 수혁- 기주- 태영의 삼각 관계, 어려운 환경에 열 심히 살아가는 여인에게 어느 날 백마 탄 왕자님이 나타나고 그와 혼인하여  단번에 인생역전을 이룬다는 스토리 -파리의 연인-이 요즈음 굉장한 인기였습 니다. 식상한 구도에도 불구하고 드라마의 결말이 공개된 후 마니아들이 거...

하나님의 ‘자유성’에로 초대

하나님의 '자유성'에로 초대 김영규 목사/ 개혁주의성경연구소 하나님의 말씀에 의한 창조 사상은 기본적으로 '보이는 것은 나타난 것으로  말미암아 된 것이 아니다'는 인식에 있다(히 11:3). 예를 들어 인간에게 미래 에 대한 예언이 가능하다는 것도 아주 신비로운 현상이다. 최근 물리학자 호 킹의 '불랙홀 정보패러독스'에 대한 자신의...

주5일 근무제여 어서 오소서! _이은상 목사

주5일 근무제여 어서 오소서! 이은상 목사/ 동락교회 "언제부터인가? 나는 간이역조차 없는 인생의 기찻길을 달리고 있었다. 아침  일찍 출근해서 밤 10시가 넘어서야 그것도 간신히 지친 몸을 이끌고 집에 돌 아온다. 이런 일은 월요일부터 주일까지 계속된다. 평일은 업무관계 때문이 고 주일은 주일학교 부장, 성가대, 전도회, 이후에 저...

하나님의 계시는 인간을 위한 것

하나님의 계시는 인간을 위한 것 법적인 진실은 양심적 진실 앞에 그 한계가 있고 어느 정도 가치를 가진 양심 적 진실도 사실적 진실 앞에 그 한계가 있다. 그러나 역사적 진실이든 과학 적 진실이든, 그런 사실적 진실들은 절대적 진실인 신적 진실 앞에 그 한계 가 있다. 기독교적인 편벽이 없는 공의란 살아계신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  및 택...

불량한 양식을 거두어 주옵시고_ 이은상 목사

불량한 양식을 거두어 주옵시고 이은상 목사/ 동락교회 잠잘 때나, 일할 때나, 뭘 먹을 때나, 길을 걸을 때나, 특히 혼자 있을 때 늘 그림자 처럼 따라다니는 존재가 있습니다. 이 존재는 필경 나의 마지막 숨결이 잦아들 때까지  단 한순간도 내 곁을 떠나지 않을 존귀한 존재입니다. 이 존재가 바로 양심입니다.  그러나 이 내적 존...

하나님의 계시가 어떻게 인간에게 전달되는가?

하나님의 계시가 어떻게 인간에게 전달되는가? 김영규 목사/개혁주의성경연구소 성경의 창세기로부터 인간의 숨는 행위나 불안한 행위, 핑계에 따른 언어활 동 이전에 이미 지향점 자체에 인간불행의 뿌리가 있다고 계시되어 있다.  즉, 마지막 형벌로서 죽음이나 노동과 고통, 자연 자체의 부패성 이전에 죽 음의 원초적 징조로서 인간의 근원적 부...

울 엄마, 울 할머니 _이은상 목사

울 엄마, 울 할머니  이은상 목사/동락교회 팔순이 넘으신, 그래서 기억력을 많이 잃으신 아버님께 가끔 전화를 드리면  녹음기를 듣는 것처럼 항상 세 마디만 하십니다. "어디냐? 언제 올래! 며느 리와 애들도 같이 오거라!!!" 애들은 공부한다는 핑계로 자식과 며느리는 목 회한다는 핑계로 "오늘은 못 갑니다"라고 아버님과의 짧은 통화...

문명과 문화에 있어서 인간의 근본적 오류

문명과 문화에 있어서 인간의 근본적 오류 김영규 목사/ 개혁주의 성경연구소 종교개혁이후 인간의 부패와 타락을 말할 때, 지식이나 감성의 부패만을 의미 하지 않고 인간의지 자체의 타락과 부패에 더 강조점이 주어진다. 그런 맥락 에서 언어의 의미를 찾을 때 판명한 표상들을 추구하거나 더 자세히 관찰하 기 위해서 미시세계로 환원하려고 하는...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