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불완전한 교회가 완전의 푯대를 향해 가질 태도...
불완전한 교회가 완전의 푯대를 향해 가질 태도
장로교회의 성도들은 예배와 정치와 교제와 생활을 성경과 그에 근거한 신앙고백 그리고 성경의 원리와 목적에 부합한 질서 안에서 영위한다. 칼빈은 교회에 얼굴이 있다면서 교회의 표지를 강조했다. 교회의 표지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고 그에 의존된 성례와 권징이 추가된다. 이것이 교회가 추구하고 나아갈 푯대이다. ...
[시론] 일과 성취_고상섭 목사
일과 성취
고상섭 목사(그 사랑교회, 본보 논설위원)
참된 일과 성취는 하나님과 공동체 안에서 누리는 관계성 속에 있다
오늘날 젊은이들의 문화내러티브 중의 하나는 직업의 성취를 통해서 인생의 목적을 추구하려는 것이다. 자아실현과 자아성취를 일과 연관시켜서 꾸준히 가르침을 받아온 영향이 큰 것 같다. 하나님이 태초에 일을 디자인하셨고, 하나님의 일...
[햇빛편지] 몽당연필_박부민 편집국장
몽당연필
몽땅하지만
연필인 것을
신이 쓰시면
걸작인 것을
길고 짧은 건
대보지 않기
겉은 버리고
속은 벼리고
흑이 백으로
밤이 낮으로
몽땅 변함이
필연인 것을
박부민 국장 nasaret212hanmail.net
[사설] 그래도 감사하자
그래도 감사하자
얼마 전에 알바 취업 포털인 ‘알바몬’이 최근 알바생 11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결과를 보면 우리가 주목할 만한 것이 있는데 알바생 89.9%는 “알바 중에 마음에도 없이 습관적으로, 영혼 없이 하는 말들이 있다”고 답했다. 그리고 이들이 가장 많이 하는 영혼 없는 말들이 이런 것이다. 1위가 43.8%로 “감사합니...
[논단] 정체성이란 무엇인가_이동만 목사
정체성이란 무엇인가
정체성은 특수성이 아닌 보편성에서 찾아야 한다
“정체(正體) 또는 정체성(正體性, identity)은 존재의 본질 또는 이를 규명하는 성질이다. 정체성은 상당 기간 동안 일관되게 유지되는 고유한(필자 강조) 실체로서 자기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함의할 수 있다. 정체성은 자기 내부에서 일관된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과 다른 존재와의 관...
[시론] 코로나 사태를 겪는 성도들의 다짐_박형용 목사...
코로나 사태를 겪는 성도들의 다짐
박형용 목사(합신 명예교수, 본보 논설위원)
코로나 사태를 어떤 마음으로 대처해 나가느냐에 따라 역사의 페이지가 더 풍요해질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모든 사람의 일상을 바꾸어 놓았다. 어딜 가나 마스크를 쓰고 다녀야하고 심지어 운동할 때도 마스크를 쓰고 운동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
[햇빛편지] 십일월_박부민 편집국장
십일월
산보다 먼저 영혼에
단풍이 드는 건
누군가의 감사 편지가
우편함을 물들이기 때문이다
십일월이 소나무보다 단단한 것은
홀가분한 차림에
11이라는 두 다리로만
함께 버티기 때문이다
하늘의 종소리를 듣고
귀향하는 행렬처럼
착지하는 새들의 깃털
거기 스미는 따스한 노을
밥 연기 덮으며 눈구름 밀려와도
마을이...
[사설] 신앙생활과 인문학을 생각한다
신앙생활과 인문학을 생각한다
달라스 신학교 기독교 교육학 교수였던 하워드 핸드릭스는 <삶의 변화시키는 성경연구>에서 성경을 연구하기 전에 먼저 읽어야 하는 책을 소개하면서 모티머 J. 애들러의 <독서의 기술>을 추천한다.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책으로 하나님이 저자이시지만 또한 유기적 영감을 통해 인간 저자를 통해 쓰였기 때...
[목회칼럼] 비대면 예배?_임용민 목사
비대면 예배?
임용민 목사(새소망교회)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로서 회복해야 할 지점과 회개해야 할 내용들을 깨닫도록 은혜를 간구해야
코로나19는 한국 교회에 비대면 예배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줬다. 비대면 예배는 "Zoom, 밴드,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매체를 이용해서 온라인으로 예배를 드리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비대면 예배를 드리는 것 때문에 정...
[신앙논단] 위기에 처한 ‘오직 성경’_김병기 목사
위기에 처한 ‘오직 성경’
김병기 목사 (주의영광교회)
교회 타락의 근본 원인은 신앙과 삶의 유일한, 최종 법칙인 성경에서 멀어졌기 때문
기독교 신앙의 근본적인 특징은 “계시 의존적 신앙”이라는 것이다. 하나님을 섬기는 신자들의 신앙과 삶에 있어 가장 근본적이고 최종적인 권위는 목회자에게 있는 것도 아니고, 교회 조직에 있는 것도 아니며, 오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