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와 장로(5)
목사와 장로(5)
“한 팀 사역자 의식 함께 가져야”
김북경 총장_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어떤 공동체라도 성공하려면 팀 사역이 잘 되어야 한다. “워털루 전쟁은 이
미 이튼 고등학교 운동장에서 승패가 결정됐다”라는 영국 격언이 있다. 이튼
이라는 명문에서는 학생들의 협동 정신을 운동을 통해 함양시키는 오래된 전
통이 있다. 워털루...
손발 편하자고 머리를 텅 비우는 어리석음_정창균 목사
손발 편하자고 머리를 텅 비우는 어리석음
정창균 목사/새하늘교회
지난해 2월 말, 교회 부흥사경회를 시작할 때였습니다. 강사 목사님께 최대한
의 친절을 베풀기 위하여 이것저것을 미리미리 살피고 준비하고 나름대로 애
를 썼습니다. 당일 오후에는 이 지역이 초행이라는 강사 목사님께서 어려움
없이 교회를 찾아오시도록 약도를 팩스로 보내드리든...
“너무나 독특하게 기록된 성서들”
“너무나 독특하게 기록된 성서들”
김영규 목사_뉴욕학술원, 남포교회 협동목사
독일의 철학자 에드문트 훗설이 할레대학을 떠나 궤팅겐 대학에서 철학강의
를 시작하면서 의식은 근원적으로 지향적이며 의식의 그 지향적 행위에 의해
서 지각뿐만 아니라 기억도 구성된다는 사상이 수강자들에게 전달되었다. 이
런 사상을 중심으로 과거의 철학적 모...
“너나 잘 하세요”의 풍조_김수흥 목사
“너나 잘 하세요”의 풍조
김수흥 목사_합신초빙교수
오늘 우리 사회에는 “너나 잘 하세요”의 풍조가 만연되어 가고 있다는 것이
다. 최근 통계청에서 한국인 7만 명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를 조사해서 발표했
다. 장애인에 대한 차별의식을 조사했는데 89.1%의 사람들은 나는 장애인을
차별하지 않는 반면 (나를 제외한) 다른 사람들은 차별한...
진정한 자유는 진리를 통해서 온다_한광수 목사
진정한 자유는 진리를 통해서 온다
한광수 목사_사명의교회
오늘날 우리는 자유를 외치는 여러 종류의 사람들을 접하게 된다. 최근에 양심상의 이유
로 집총을 거부하며 군대를 가지 않겠다고 하는 이단의 젊은이들을 법원에서 편들어주
고 있다. 더욱 무서운 것은 자신들의 자유와 이권을 내세워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무서
운 테러를 저지르고 있다...
목사와 장로(4)
목사와 장로(4)
김북경 총장_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목사와 장로의 평준화가 기능상의 통일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각자 받은 은
사대로 일을 하되 서로의 은사를 인정하고 귀하게 여기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는 뜻이다. 우리의 고질병은 제일주의에 있다. 한국 교회에서는 아직도 목사
가 제일가는 사람으로 본다. 중세의 신부는 모든 학문의 여...
이별이 가져오는 것_변세권 목사
이별이 가져오는 것
변세권 목사_온유한교회
간밤에 눈이 내려 앙상했던 겨울 산이 햇솜 같은 흰 눈으로 포근하게 덮였
다. 두툼한 파카에 목도리를 두르고 주변 산자락을 걸었다. 발을 내딛을 때마
다 뽀드득거리는 발자국 소리에 때묻지 않았던 어린 시절이 생각이 났다. 이
제는 많은 이별과 만남을 통해 늙었다는 생각을 했다. 어느 시인은...
주께서 우리 교단에 주신 선물 ‘소요리문답’_김용주 목...
주께서 우리 교단에 주신 선물 ‘소요리문답’
김용주 목사·소식교회
우리 교회 초창기에 소요리 문답 107문답까지를 가르쳐 본 경험이 있습니다.
그것은 1982년 초에 당시 총회 교육부에서 발행한 교재가 있어서 가능하였습
니다. 당시에 집필은 최낙재 목사님이셨고, 크리스챤서적 공사를 통하여 공급
되었습니다. 이 책은 1, 2권 통...
“약함을 통해 강해져라”_김명혁 목사
“약함을 통해 강해져라”
김명혁 목사·강변교회
“크리스천 투데이”에 실린 신년대담 내용의 일부를 여기 요약하여 실립니
다.
“지난해 한국교회의 정치, 사회 참여는 바람직했지만 너무 정치화 됐고 세력
화를 지향했다고 봅니다. 우리 신앙의 길이 선배들과 멀어진 것 같아요. 길선
주 목사, 주기철 목사, 손양원 목사, 한경직 목사 등 ...
목사와 장로(3)
김북경의 살며 생각하며
목사와 장로(3)
김북경 총장_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목사와 장로 차별은 한국교회에 지대한 부작용을 가져왔다. 목사는 성직자로
서 교회를 대표하고 담임 목사직을 누리며 당회장을 포함한 모든 부서의 장
의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당회원(장로)들은 일인정치 체제의 들러리를 서
는 격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