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위한기독교용어바로쓰기(3)-노회/정설
노회
정설/ 나누며섬기는교회
경기도의 아무개 교회에 어느 날 난리가 났습니다. 무슨 난리냐구요? ‘내
가 그리스도다!’라고 주장하는 목사가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어느 날 기도
원에서 무슨 특별한(?) 계시를 받았다고 하면서 자기가 하나님의 독생자라
고 강력하게 주장하는 이 분 때문에 아무개 교회 ...
기독교 용어, 바로 쓰기 캠페인 – 2 &...
기독교 용어, 바로 쓰기 캠페인 - 2
'목사, 장로'
정설/ 나누며섬기는교회
어느 날 친구가 불쑥 꺼낸 말. '장로가 되려면 돈이 많아야겠지?' 수천 명의
교인이 출석하는 어느 교회에서 장로에 선출되려면 기백만원을 헌금해야한다
는 말을 어디서 들었으며, 선출된 장로들 또한 사회적 지위가 높은 분들이라
으레 그렇게 알았다는 것입...
청소년을 위한 특강-기독교 용어, 바로 쓰기 캠페인① ...
청소년을 위한 특강-기독교 용어, 바로 쓰기 캠페인①
'교회'
정설(나누며섬기는 교회)
'언어'는 하나님께서 주신 유용한 도구입니다. 나를 알릴 수 있고, 상대
를, 그 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도 인간의 언어에 스스로를 제한
시키시는 은혜를 베푸셔서 자신에 대해 알려주고자 하시기를 기뻐하셨습니
다. 성경도 그렇습니다...
제7회 중고등부 연합수련회를 이렇게 준비한다_손종국 목...
제7회 중고등부 연합수련회를 이렇게 준비한다
손종국 목사(총회수련회 자문위원)
많은 젊은이들이 영적 갈급으로 괴로워한다. 이것은 하나님을 떠난 모든 인간
이 겪는 비극이다. 어거스턴은 이렇게 말했다. "인간에게는 하나님만이 채울
수 있는 절대 공간이 있다." 그래서 하나님이 채우지 않으면 인간은 공허감
을 느끼는 것이다. "비만은 정신병이...
제7회 중고등부 연합수련회를 준비한다_손종국 목사
제7회 중고등부 연합수련회를 준비한다
손종국 목사(총회수련회 자문위원)
언제나 그랬지만 요사이는 더욱 우리 청소년들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
다. 개인주의, 물질주의, 감각주의, 아노미현상으로 특징되어지는 현대사회
의 소용돌이 안에서 우리의 청소년들이 힘을 잃어가도 있다. 신앙과 비젼과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기독교 교육의 목...
바른 속뜻 바른 표현 ‘부흥사’...
바른 속뜻 바른 표현
'부흥사'
변이주 목사/전북노회
한국장로교총연합회 선교위원회에서 가칭 '한국장로교부흥사연합회'를 조직
하기로 했다는 기사가 기독교개혁신보 329호에 실렸습니다. 남의 일에 실없
이 간섭하는 것 같아 죄송한 마음이 들기는 합니다만 '부흥사'라는 말을 조
심 없이 사용해도 괜찮은지 한 번 짚어 보고자 합니다.
부...
바른 속뜻 바른 표현 _변이주 목사
바른 속뜻 바른 표현
변이주 목사/ 전북노회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이 하늘과 땅을 만드셨어요」
흔히들 어린이 교육은 쉬운 말로 해야된다고 하여 '천지'를 '하늘과 땅'으
로, '창조'를 '만들다'로 고쳐서 말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우
리말을 제대로 알지 못한데서 비롯된 것임을 바로 알아야 하...
교회에서 잘못 쓰는 말들 “목사님”...
교회에서 잘못 쓰는 말들
"목사님"
변이주 목사/ 알곡교회
딸을 시집보내는 어머니가 딸을 교육합니다. "얘야, 시집 식구들에게는
꼭 '님'자를 써서 불러야 한다."
딸이 친정어머니의 말을 기억하고 그대로 합니다 "시아버님 머리님 좀 치워
주세요. 며느리님 발님이 들어가십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님'자 병이 든 것...
교회에서 잘못 쓰는 말들_변이주 목사
교회에서 잘못 쓰는 말들
변이주 목사/ 알곡교회
'자유하다'
"종이 진정으로 말하기를 내가 상전과 내 처자를 사랑하니 나가서 자유하지
않겠노라"(출 21:5).
"너희가 죄의 종이 되었을 때에는 의에 대하여 자유하였느니라"(롬 6:20).
"우리 시조가 자유함을 인하여 하나님께 죄를 범함으로 창조함을 받은 본 지
위에서 타락...
교도소에도 사람이 있습니다_이기학 목사
교도소에도 사람이 있습니다.
이기학 목사
"버스표가 얼마입니까"라고 물어보다가 멀쑥하게 고개를 떨구는 사람들이 있
다. 수년간 사회의 흐름도 모르고, 한 곳에서만 지내기에 버스표를 구입하는
방법을 잊어버린 것이다.
현재 전국에는 47개의 교정시설(교정국, 지방교정청, 구치소, 교도소, 감호
소)이 있다. 여기에는 약 육만 삼 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