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위한기독교용어바로쓰기(3)-노회/정설

    노회  정설/ 나누며섬기는교회 경기도의 아무개 교회에 어느 날 난리가 났습니다. 무슨 난리냐구요? ‘내 가 그리스도다!’라고 주장하는 목사가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어느 날 기도 원에서 무슨 특별한(?) 계시를 받았다고 하면서 자기가 하나님의 독생자라 고 강력하게 주장하는 이 분 때문에 아무개 교회 ...

기독교 용어, 바로 쓰기 캠페인 – 2 &...

기독교 용어, 바로 쓰기 캠페인 - 2 '목사, 장로' 정설/ 나누며섬기는교회 어느 날 친구가 불쑥 꺼낸 말. '장로가 되려면 돈이 많아야겠지?' 수천 명의  교인이 출석하는 어느 교회에서 장로에 선출되려면 기백만원을 헌금해야한다 는 말을 어디서 들었으며, 선출된 장로들 또한 사회적 지위가 높은 분들이라  으레 그렇게 알았다는 것입...

청소년을 위한 특강-기독교 용어, 바로 쓰기 캠페인① ...

청소년을 위한 특강-기독교 용어, 바로 쓰기 캠페인① '교회' 정설(나누며섬기는 교회)  '언어'는 하나님께서 주신 유용한 도구입니다. 나를 알릴 수 있고, 상대 를, 그 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도 인간의 언어에 스스로를 제한 시키시는 은혜를 베푸셔서 자신에 대해 알려주고자 하시기를 기뻐하셨습니 다. 성경도 그렇습니다...

제7회 중고등부 연합수련회를 이렇게 준비한다_손종국 목...

제7회 중고등부 연합수련회를 이렇게 준비한다 손종국 목사(총회수련회 자문위원) 많은 젊은이들이 영적 갈급으로 괴로워한다. 이것은 하나님을 떠난 모든 인간 이 겪는 비극이다. 어거스턴은 이렇게 말했다. "인간에게는 하나님만이 채울  수 있는 절대 공간이 있다." 그래서 하나님이 채우지 않으면 인간은 공허감 을 느끼는 것이다. "비만은 정신병이...

제7회 중고등부 연합수련회를 준비한다_손종국 목사

제7회 중고등부 연합수련회를 준비한다 손종국 목사(총회수련회 자문위원) 언제나 그랬지만 요사이는 더욱 우리 청소년들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 다. 개인주의, 물질주의, 감각주의, 아노미현상으로 특징되어지는 현대사회 의 소용돌이 안에서 우리의 청소년들이 힘을 잃어가도 있다. 신앙과 비젼과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기독교 교육의 목...

바른 속뜻 바른 표현 ‘부흥사’...

바른 속뜻 바른 표현 '부흥사' 변이주 목사/전북노회 한국장로교총연합회 선교위원회에서 가칭 '한국장로교부흥사연합회'를 조직 하기로 했다는 기사가 기독교개혁신보 329호에 실렸습니다. 남의 일에 실없 이 간섭하는 것 같아 죄송한 마음이 들기는 합니다만 '부흥사'라는 말을 조 심 없이 사용해도 괜찮은지 한 번 짚어 보고자 합니다. 부...

바른 속뜻 바른 표현 _변이주 목사

바른 속뜻 바른 표현  변이주 목사/ 전북노회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이 하늘과 땅을 만드셨어요」 흔히들 어린이 교육은 쉬운 말로 해야된다고 하여 '천지'를 '하늘과 땅'으 로, '창조'를 '만들다'로 고쳐서 말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우 리말을 제대로 알지 못한데서 비롯된 것임을 바로 알아야 하...

교회에서 잘못 쓰는 말들 “목사님”...

교회에서 잘못 쓰는 말들  "목사님" 변이주 목사/ 알곡교회 딸을 시집보내는 어머니가 딸을 교육합니다. "얘야, 시집 식구들에게는  꼭 '님'자를 써서 불러야 한다." 딸이 친정어머니의 말을 기억하고 그대로 합니다 "시아버님 머리님 좀 치워 주세요. 며느리님 발님이 들어가십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님'자 병이 든 것...

교회에서 잘못 쓰는 말들_변이주 목사

교회에서 잘못 쓰는 말들  변이주 목사/ 알곡교회 '자유하다'  "종이 진정으로 말하기를 내가 상전과 내 처자를 사랑하니 나가서 자유하지  않겠노라"(출 21:5). "너희가 죄의 종이 되었을 때에는 의에 대하여 자유하였느니라"(롬 6:20). "우리 시조가 자유함을 인하여 하나님께 죄를 범함으로 창조함을 받은 본 지 위에서 타락...

교도소에도 사람이 있습니다_이기학 목사

교도소에도 사람이 있습니다. 이기학 목사 "버스표가 얼마입니까"라고 물어보다가 멀쑥하게 고개를 떨구는 사람들이 있 다. 수년간 사회의 흐름도 모르고, 한 곳에서만 지내기에 버스표를 구입하는  방법을 잊어버린 것이다. 현재 전국에는 47개의 교정시설(교정국, 지방교정청, 구치소, 교도소, 감호 소)이 있다. 여기에는 약 육만 삼 천명...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