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칼럼| 기독교는 무엇을 추구하는가?_한병수 박사

< 한병수 박사, 합신강사, 개혁주의신학연구소 소장 > “복음의 범인류적 유익 극대화 도모할 때 하나님 영광 드러나” 1. 인류에게 가장 큰 복을 제시하고 제공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민족성과 시대성과 당파성을 극복해야 한다. 특정한 목적과 특정한 집단과 특정한 시점과 결탁하는 순간 섬김의 영역은 그만큼 좁아지고 왜곡과 편협의 ...

세월호 사고로 슬픔 당한 가족들에게_김재열 목사

세월호 사고로 슬픔 당한 가족들에게   < 김재열 목사, 뉴욕중부교회 >   “상처는 치유를, 위기는 기회를, 슬픔은 반드시 기쁨 가져와”   사랑하는 자녀를, 가족을 잃고 비통해 하는 여러분에게 무슨 말로 위로가 되겠습니까? 하늘도 무심합니다. 하나님은 어디 가셨나요? 피눈물 흘리며 울부짖는 엄마 아빠들의 기도소리를 듣지 못하시나요?...

내 마음을 찢어 회개할 때입니다_양영욱 목사

내 마음을 찢어 회개할 때입니다   < 양영욱 목사 · 부평벧엘교회 · 인천노회장 >   “대한민국 살리는 정신을 유산으로 남겨준 희생자들 기억해야”   추운 겨울을 이기고 새 생명이 넘실대는 봄은 형형색색의 꽃들의 향연 속에 잔치들이 열리고 계획이 되어 있는 계절입니다. 그런데 지난 주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묵상하는 주간에 청천 벽력같...

|제언| 소요리문답을 넘어 대요리문답으로_황희상 형제

소요리문답을 넘어 대요리문답으로 < 황희상 형제, 안산푸른교회 > “삶의 실천적 원리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한국 교회, 특히 장로교회는 너무 단순한 것만 찾고 짧은 것만 좋아하는 풍조를 버려야 합니다. 갑자기 이런 부정적 멘트로 글을 시작한 것은 얼마 전에 있었던 어느 세미나에 참석한 어떤 분과의 대화 때문...

|목회수상| “행복, 행복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랑게요”...

“행복, 행복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랑게요” < 가정호 목사, 세대로교회 > “자살이라는 극단적 생각 속에서 행복이 인생의 전부가 아님을 알게 돼”   어느 날부터인가 그는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기 시작했다. 그는 이 놀라운 결과가 주님을 섬겨온 열매라고 생각하였다. 그것은 실상 어린 시절부터 간절히 기다려 왔던 일이...

|목회수상| 책임지는 기독교_최광희 목사

책임지는 기독교 < 최광희 목사, 행복한교회 > “하나님과 화목하기 위해 먼저 피해자와 화목하는 것 필요해”   영화 ‘밀양’을 개봉한 것이 2007년이니까 벌써 7년이 다되어 갑니다. 처음 이 영화가 방영되었을 때 이 영화가 기독교를 옹호하는 영화냐, 비판하는 영화냐 논란이 많았습니다.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 다시...

|목회수상| ‘만일 죽음 이후 천국이 없다면’_이은상 ...

‘만일 죽음 이후 천국이 없다면’ < 이은상 목사, 동락교회 > “믿음의 생활은 천국에서만 아니라 이 땅에서도 복 가져와”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라고 말한 파스칼은 최초로 계산기를 발명했습니다. 그는 도박에도 조예가 깊었던 사람인데 이 도박정신을 가지고 신앙을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가령 신앙을 가져야 하는...

|치악골 아침사색| 비관적 낙관주의의 모범으로 살아가자...

비관적 낙관주의의 모범으로 살아가자 < 변세권 목사, 온유한교회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겨주신 자리에서 성실하게 살아가기를”   올 겨울은 큰 추위가 없어서 감사하다. 눈도 많이 내리지 않아 다행이다. 자연은총도 감사함으로 받으면 더 없이 감사한 것이 된다. 때로 우리가 무엇인가 부족하다고 느꼈을지라도 하나...

|김영규칼럼| 현대 사회의 질병과 교회의 역할

현대 사회의 질병과 교회의 역할   < 김영규 목사 > ·개혁주의성경연구소장 ·뉴욕과학아카데미(NYAS) ·미국과학 진흥협회(AAAS) ·미국화학학회(ACS) 초청회원   “생활수준 향상으로 높아진 정신질환 퇴치에 교회가 관심 가져야” 오늘날 교회가 이웃을 진정 돕는 일은 ...

|목회칼럼| 예배찬송으로서 시편찬송이 주는 유익_최찬영...

예배찬송으로서 시편찬송이 주는 유익 < 최찬영 목사, 영국 다윗의교회 > “진정한 예배의 회복이란 교회가 시편찬송으로 예배하는 것”   우리 교회가 예배 찬송으로 제네바 시편 찬송을 부른지 3년이 되었다. 사실 시편 찬송가가 있었다는 것을 처음 안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불과 3년 전인 2011년 봄이었다. ...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