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종교 마찰의 해법_허태성 목사

정부와 종교 마찰의 해법 허태성 목사_강변교회 추석이 가까이 다가온 요즈음 가을 하늘이 유난히도 청명하다. 천고마비의  계절이라 했던가? 날씨로는 좋은 계절을 맞았지만 요즈음 이명박 대통령의  마음은 편하지가 못한 것 같다.  기독교 당면 문제 해답 찾아야 취임 전부터 ‘한반도 대운하’ 문제로 많은 공격을 받더니 청와대에 들...

우리도 신앙의 금메달을 따야 한다_한광수 목사

우리도 신앙의 금메달을 따야 한다 한광수 목사_사명의 교회  온 국민을 감격시켰던 베이징 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우리나라는 13개의 금 메달을 따서 204개 참가국 중 7번째의 순위가 되었다. 정말 자랑스러운 일이 다. 우리 선수들의 고군분투로 이루어진 값진 결과이다.  올림픽에서 좋은 성과 일궈 특히 안쓰러웠던 경기는 여자...

목회자의 영광_박형용목사

목회자의 영광 박형용목사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합신 명예교수 목회의 길은 어려운 길이다. 그래서 목회는 아무나 할 수 없는 사역이요 오 직 소명을 받은 사람만이 기쁨으로 감당할 수 있다.  목회처럼 어려운 길 없어 하나님은 목사들에게 가장 어려운 일을 맡기셨지만 또한 가장 영광스러운 일 을 맡기셨다. 목회의 상...

교회의 경영인이 되지 말고 목자가 되자_박발영 목사

교회의 경영인이 되지 말고 목자가 되자 박발영 목사_한우리교회 예전에 국민일보에서 “경영자가 아닌 목자가 되라”는 기사를 보았다. 이  기사는 홍정길 목사님이 한국 교회를 방문한 미한인 목회자들에게 당부한 이 야기를 기사화 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목사는 사람들 영혼을 사랑해야 이들에게 홍 목사님은 “당신들의 목표가 무엇...

지금은 기도할 때_이주형 목사

지금은 기도할 때 이주형 목사_오정성화교회 오늘 이 나라의 현실을 바라볼 때 여러 가지로 안타까움을 금할 길이 없다.  고유가, 고물가, 저성장이라는 대내외적인 악재로 경제의 위기를 맞고 있으 며, IMF때보다 더 어렵다고 하소연하는 이들이 많아졌다.  대, 내외적으로 난국에 빠져 있어 또한 의욕적으로 출발한 이명박 정부...

광야의 목회학이 필요하다_변세권목사

광야의 목회학이 필요하다 변세권목사_온유한교회 때 이른 폭염이 지칠 줄을 모른다. 그동안 미국산 쇠고기 문제도 날씨만큼이 나 뜨겁게 거론되어 왔었다. 아쉬운 것은 진보성향의 종교단체 성직자들도  이 문제에 친히 나섰다는 것이다.  날씨만큼이나 뜨거웠던 정국 모세 시대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에게 재판을 받기 위해 하루종...

한국교회의 당면 문제는 무엇인가?_박봉규 목사

한국교회의 당면 문제는 무엇인가? 박봉규목사_한장연 사무국장 한국교회의 당면한 문제에 대해 몇 개 단체가 권위 있는 학자들을 모아 몇  차례의 포럼을 개최했다. 그러나 이들 포럼에서는 문제에 대한 제기는 있었 지만 처방과 방향성 제시에는 부족한 점이 많이 있었다.  대안과 처방 없는 당면 문제들 무슨 이유인지 모르지만 교계 ...

다음 세대를 살려야 한다_김교훈 목사

다음 세대를 살려야 한다 김교훈 목사_충청노회장, 대전 한누리교회 어느 교회의 주일 예배를 드린 후에 성도들이 교제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 다. 모든 성도들이 삼삼오오 모여서 소그룹으로 자연스럽게 교제하고 있었 다. 그런데 그중에 초등학교 5-6학년 정도로 보이는 아이들이 교회 마당의  큰 나무 아래 모여 서로의 손을 잡고 기도하...

미얀마와 중국에서 일어난 재난을 보면서_문수석 목사

미얀마와 중국에서 일어난 재난을 보면서 문수석 목사_경남노회장,벧엘교회 미얀마에 불어닥친 사이클론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이번에는 중국이 대 지진으로 재난을 당했다. 엄청난 물적 손실은 차치하고서라도 수많은 생명 을 앗아간 일련의 사건들은 가히 재앙이라고 밖에 달리 표현할 길이 없다.  재앙 앞에 놓여 있는 인류 성경...

이 아이를 아십니까?_최태호 목사

이 아이를 아십니까?  최태호목사_전북노회장, 군산우리교회  한 아이가 태어납니다. 이 아이의 태어남에 대한 의미가 가정에서의 의미와  국가 또는 지자체에서의 의미가 조금은 다르다고 봅니다. 가정에서의 의미 는 사랑과 축복의 열매요, 소망 그 자체입니다. 국가 또는 지자체에서의 의 미는 인구 1인의 증가 정도로의 의미가 아닌가 생...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