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S 060-700-8291 를 열나게 해야 한다
ARS 060-700-8291 를 열나게 해야 한다.
우리 교단이 제91회기에 새롭게 시작한 사업 중 하나가 목회자 최저생활 대
책위원회의 사업이다. 이 사업을 펼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재정이 필요한
데 이를 위한 재정을 위해 ARS헌금을 할 수 있도록 총회서 결의하여 시행하
게 되었다. 아직은 홍보 기간이기는 하지만 이미 본보를 통해 개통...
2007년을 맞이하는 우리 교단의 자세
2007년을 맞이하는 우리 교단의 자세
2007년은 우리 한국 기독교 역사에서 뜻 깊은 한 해가 되고 있다. 1907년 평
양에서 시작된 대부흥 운동이 10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며 동시에 1937년 평
양에서 있었던 한국 기독교 역사의 치욕적인 사건인 신사참배 결의 70주년
이 되는 해이다. 이 역사적 새해를 맞이한 우리 합신 교단은 어떤...
목회자 연장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목회자 연장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50년 전만 해도 GNP 50$도 못되던 최빈국이었던 대한민국이 경제 규모로 세
계 11위의 선진국으로 뛰어들 수 있었던 역량은 교육에 있다는 사실을 누구
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한국교회가 이처럼 성장하고 세계를
향해 선교할 수 있었던 것도 신학 교육에 대한 뜨거운 열정이 있었기에 가능
...
숫자의 미혹, 그 달콤한 유혹
숫자의 미혹, 그 달콤한 유혹
사람들은 항상 숫자에 관심을 가지고 산다. 돈의 많고 적음을 말할 때도 얼
마나 가졌느냐? 물건값을 말할 때도 얼마짜리냐? 사업할 때도 얼마나 벌었느
냐? 월급은 얼마나 받느냐? 이런 숫자에 관한 것들이 사람들을 종종 기쁘게
도 하지만 미혹도 한다. 다윗도 숫자의 미혹을 받은 적이 있었다. 반면에 모
세는 하나...
기독 청년의 결혼 문제: 교회가 적극 나서야 한다....
기독 청년의 결혼 문제:
교회가 적극 나서야 한다.
오늘날 어느 교회에서나 결혼할 나이가 되었음에도 마땅한 믿음의 배우자를
만나지 못하고 있는 젊은이들이 많다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기독 청
년들이 직장 생활에서 생의 반려자를 만나기가 무척 어렵다. 직장에서 누가
예수 믿는 사람인지가 잘 드러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믿음의...
미자립 교회 활성화 위원회에 거는 기대
미자립 교회 활성화 위원회에 거는 기대
우리 합신 교단의 발족 25주년을 맞이하고서야 우리 중 어려운 여건 속에서
힘겹게 복음에 헌신하는 교회와 목회자를 위한 위원회가 활동을 시작하게
된 것은 늦은 감이 없지 않다. 하지만 이제라도 이를 위한 특별 위원회가 운
영되는 것은 매우 소중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분야의 일의 중요성은 여러 ...
교단의 ‘비전2010위원회’에 바란다
교단의 ‘비전2010위원회’에 바란다
안만수 목사_부주필,화평교회
우리 교단에 비전2010위원회가 새롭게 발족하게 되었다. 이 위원회는 5월 우
리 교단 창립 25주년 기념대회 때 이미 그 필요성이 제기되었다가 지난 총회
에서 결의되었다. 이 위원회는 우리 교단의 2010년까지의 비전과 방향을 제
시하는 일을 하게 될 것이다.
...
폐쇄적인가 아니면 개방적인가?
폐쇄적인가 아니면 개방적인가?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제91회 총회가 끝난 지 두 달이 가깝지만 짚고 넘어
가야 할 문제가 있다. 이것은 두 달 전의 문제라기보다는 앞으로의 문제이
기 때문에 그렇다. 여러 가지 면에서 26년이 지난 지금 과거의 모습과 현재
의 모습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긴급동의안으로 총회에 상정된 합동측과의 교류 건에 대...
기독 언론의 정상화 대책은 없는가?
기독 언론의 정상화 대책은 없는가?
송영찬 목사_본본 편집국장
작금 교계에서 발행되고 있는 신문들을 보면 가관이 아니다. 소위 초교파지
로 불리는 이들 신문들은 아직도 70년대식 ‘산상 축복 신유 성회’를 비롯
해 80년대부터 봇물을 일으킨 ‘교회 성장 세미나’ 류의 기사와 내용들이
대거 지면을 차지하고 있다. 순복음교회 식의 각종 축...
양심의 자유 행사 어디까지 가능한가?
양심의 자유 행사 어디까지 가능한가?
송영찬 국장_본보 편집국장
현재 수도권과 지방을 막론하고 날마다 크고 작은 다양한 시위와 데모가 난
무하고 있다. 왜 그런가? 각자가 자기 권리를 찾자는 양심의 호소라고 생각
한다. 거기에는 이기적인 요구도 있고 객관적인 주장도 있을 수 있다. 그러
나 둘 중 어느 쪽이든지 폴리스라인(Po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