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성실성과 회의록 기록의 중요성_권한국 목사

회의 성실성과 회의록 기록의 중요성 (부제; 단 한가지의 결의라도 성실히 임해야 한다. )  권한국 목사/연청교회 총회가 끝난 지 4개월이 됐다. 각 노회에서 파송된 목사 장로들이 모여 많 은 결정들을 하였다. 그런데 그 결정들이 교회들은커녕 노회에도 바르게 전달 되지 않고 상비부에서만 맴돌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 본인은 지난 총회 전...

이번에 사례비 타면 _ 황대연 목사

이번에 사례비 타면 황대연 목사/한가족교회 "여보..."  "응...?"  "이번에 사례비 타면... 저...약 좀 해 먹을까해요.."  "그러지 뭐..."  아내의 말을 듣고 잠시 생각합니다.  계절이 바뀌면서 아내는 무척 피곤한 기색이었습니다. 결혼 후 15년을 살아 오면서 아내는 단 한번도 자신을 위해 무엇을 해야겠다고 말...

어린이는 현재이며 미래입니다 _태국 방콕은혜교회 정석천...

어린이는 현재이며 미래입니다 태국 방콕은혜교회 정석천 선교사 치윗 유 나이 프라 옹 ( 생명 주께 있네)  멀리서도 들을 수 있는 아이들의 노래 소리이다. 팀원들은 길가는 사람들의  시선에 아랑 곳 하지 않고 아이들을 보며 열심히 기타를 치며 노래한다. 토 요일 오후이면 골목길 한적한 곳에 어김없이 아이들이 몰려온다. 아이들은  선생님...

조병수의 목회편지(53)-믿음의 비밀(딤전 3:9)

    (딤전 3:9) 믿음의 비밀  조병수 교수/ 합신 신약신학 남자아이라면 어린 시절에 주위의 여자아이들을 골려먹은 일이 한 두 번이  아닐 것이다. 대개 남자아이들은 골탕을 먹은 여자아이들이 눈물방울을 폭포 수처럼 떨구는 것을 보면서 쾌재를 부른다. 초등학교 마지막 학년 때 우리 반 에는 아무리 괴롭...

사람을 변화시키는 법 _김광환 목사

사람을 변화시키는 법  김광환 목사/ 청아한 교회 우리 아들이 요며칠간 먼 친척 집에 가 있다가 어제 돌아왔다. 몇일 되진 않 았지만 그 사이 견문이 넓어져서인지 의젓해진 것 같아 내 마음이 흐뭇했다.  이것이 부모와 자식간의 인지상정인 모양이다.  저녁식사를 하면서 아들은 말했다.  “우리 집과 그 친척 집을 비교하니 천국과 ...

조병수의 목회편지(52)-오직 하나의 말(딤전 3:8)...

  오직 하나의 말(딤전 3:8)  조병수 교수/ 합신 신약신학 말은 영혼의 길이지만 또한 영혼의 담이기도 하다. 언어가 있기에 사람들  사이에 의사소통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또한 언어 때문에 사람들은 의를 끊 고 원수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세상에서는 제법 처세를 잘한다고 하는 사람 들이 이렇게도 해석...

조병수의 목회편지(51)-이웃의 눈(딤전 3:7)

    (딤전 3:7) 이웃의 눈 조병수 교수/ 합신 신약신학 늦은 밤에 낯모르는 이십대 청년이 예고도 없이 나를 찾아온 적이 있었다.  그 청년은 불쑥 자신은 예수를 믿지 않는 사람이라는 말을 한 마디 던져놓고 는 의자에 앉자마자 눈물을 펑펑 쏟으며 울기 시작하였다. 사연을 들어보니  그의 부모가 어느 ...

|감사절에 생각하는 고 박윤선 박사의 설교| 감사를 성...

감사절에 생각하는 고 박윤선 박사의 설교 감사를 성대히 하자  본문 : 민수기 29장 12-38절 이 본문 말씀은 하나님께서 구약시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주신 수장절(收藏 節)을 지키는 규례이다. 수장절은 추수감사절이었다. 그 절기는 유대 월력 7 월 15일부터 7 일간 지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우리가 여기서 보게 되는  것은, ...

조병수의 목회편지(50)-교만 (딤전 3:6)

교만 (딤전 3:6) 조병수 목사/합신 신약신학 뉴스란 놈은 충격적인 것을 보도할 때 주가가 올라가는 줄로 생각해서 특종 거리를 발굴해내기 위해 항시 사방을 두리번거린다. 물론 우리는 뉴스의 이 런 기질 덕분에 심심지 않게 눈이 번쩍 뜨이는 일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예 를 들면 어떤 아이가 최연소로 대학에 ...

“해외동포와의 자매결연을 확장합시다!” 김...

"해외동포와의 자매결연을 확장합시다!” 김명혁 목사 (동북아평화연대 이사,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 강변교회 담 임) 지금 이런 저런 이유로 해외에 살고 있는 우리 동포들이 550만 여명에 달한 다고 합니다. 중국과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는 우리 조 선족 고려인 및 탈북 동포들이 250만 여명에 달하고 있는데 이들은 ...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