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신총회40주년기념 칼럼] 합신 교단 40년을 지나면...
합신 교단 40년을 지나면서
이승구 교수(합신, 조직신학) 본보 논설위원
우리에게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실천적으로 성경과 개혁신학에 충실한지를 지속적으로 묻는 일
하나님의 은혜로 우리들이 속해 있는 교단이 이 땅에 있게 된지 40년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합신 교단이 처음 형성된 후로 계속해서 이 역사가 우리를 지나가고 있습니다. 잘 생각해 보...
[합신총회40주년기념 칼럼] 그리스도의 신앙과 진실의 ...
그리스도의 신앙과 진실의 길로
윤여성 목사(열린문교회, 본보 논설위원)
한국 교회 속에서 진실과 정직함을 추구하는 우리의 특수적 배경과 이념의 구별됨을 포기할 수 없다
합신총회 40주년을 맞아 하나님께 감사드리며 우리 모두에게 축하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코로나로 인해 온 교단이 현장에 함께 모여 축하하는 자리는 어렵거니와 마음의 하나 됨 속에서 이런...
[합신총회40주년기념 칼럼] 합신 40년! 나의 인생 ...
합신 40년! 나의 인생 40년!
허태성 목사(HIS 파송 일본 선교사)
합신총회를 통해 그 구성원으로 사용해 주신 하나님의 은혜의 역사
나의 사랑이요 자랑인 합신 총회 설립 40주년을 맞이하여 총회를 세워주시고 오늘까지 40년 동안 선한 길로 인도해 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지난 40년 동안 총회를 신실하게 섬겨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
[합신총회40주년기념 시] 거룩한 열정_신규철 장로
거룩한 열정-합신총회 40주년에
신규철 장로(송월교회, 시인)
참 거룩한 열정이었습니다
1981년 9월 22일,
개혁에 뜻을 같이하는
새벽이슬 같은 교회들이 모여
합신총회*가 태동되었지요
칼빈의 개혁주의 신앙의 바탕 위에서
“바른 신학, 바른 교회, 바른 생활”의
설립 이념으로
그리스도만을 주인으로 섬기며
성결과 겸손으로...
[시론] 우리에게 주신 백신_김치성 목사
우리에게 주신 백신
김치성 목사(대구영안교회)
코로나19는 성도들에게 종말의 때를 예비하며 살아가게 하는 일종의 백신이다
지금 세계는 백신 전쟁 중이다. 우리 정부는 백신 공급에 차질이 없다고 발표했으나 국민들의 반응은 백신을 넉넉하게 확보하지 못한 정부에 대해서 더욱 불신하는 상황이다. 나름대로 정부도 애를 쓰며 백신을 확보하기 위해서...
[햇빛편지] 노을 바다_박부민 편집국장
노을바다
평안은 해질녘 바다를 닮았네
때로 고독을 품어
잔잔히 물결져 오거나
수평의 힘으로 노을을
멀리 늘이기도 하지
갯가에 오래 있으면 온몸이
따뜻해지는 게 이 때문이네
꿈으로 채색하고
가는 다리로 바람을 견디며 선
물새의 젖은 깃털을 봐
눈물인지 땀인지
푸른 별들이 무늬져 있어
그는 고향에 막 도착한 걸까
떠나려는 ...
[사설] 합신총회40주년기념대회를 기다리며
합신총회40주년기념대회를 기다리며
합신총회40주년기념대회가 3주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공식 엠블럼도 제작 발표되었고 지난 4월 23일(금) 화상회의로 열린 총회 임원, 전국 노회장 연석회의에서 기념대회의 전체 내용이 보고되었다. 이에 따르면 현재 기념대회 준비위에서 열과 성을 다해 애쓰는 중 프로그램과 그 일정표 등 세부 사항을 각 노회에 전달해 협조 ...
[시론] 오, 가정이여!_안두익 목사
오, 가정이여!
안두익 목사(동성교회, 본보 논설위원)
흔들림 없이 말씀을 붙잡고 인내로 서로 격려하고 배려하는 가정을 세우기를
우리의 인생이 시작되고 우리의 인생이 마감되는 그 곳, 가정! 얼굴을 맞대며 싸우고 울던 형제, 자매들, 형제 때문에 야단맞아도 그렇게 밉거나 싫어 할 수 없다. 부대끼며 짜증나고 힘들더라도 돌아서서 다시 생...
[햇빛편지] 색깔 놀이_ 박부민 편집국장
색깔 놀이
보라, 눈 시린 새벽 지나 뒷동산 눈물 머금은 여린 코스모스 아껴두고만 싶던 일기장의 비밀한 갈피
노랑, 따스한 언덕 위 너랑나랑 살갑게 살자며 한 바퀴 날아 귓등에 살랑살랑 날개 접은 사랑
빨강, 지독한 햇덩이 불러 가슴 복판 아리게 태우고 충혈된 목숨에 땀 뻘뻘 현기증 한 움큼 먹이지
파랑, 파도치는 핏줄에...
[사설] 가족의 의미–가정의 달에 부쳐
가족의 의미–가정의 달에 부쳐
가족, 이것은 사람에게 가장 애틋한 단어 중 하나이다. 흔히 동물의 세계에서도 새끼를 보호하고 양육하려는 어미의 본능적 행위가 발견되지만, 인간만큼 가족을 어느 것보다 소중히 여기는 존재는 없다. 그래서 문학, 예술, 영화 등 여러 장르에서 가족은 자주 단골 소재로 활용된다. 그런데 가족은 긍정적인 면, 부정적인 면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