슐라이어막허(3)
<정승원 교수의 현대신학해설>
슐라이어막허(3)
슐라이어막허는 정통 신학을 도그마틱한 '위로부터의 신학'이
라 혹평하고 계몽주의적 자연신학을 '아래로부터의 신학'이라 폄론
하면서 절대의존의 감정(Gef hl)을 핵심으로 하는 자신의 신학을 하
나님과 인간을 잇는 진정한 신학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이러한 신학
체계에는 우리가 믿는...
슐라이어막허2
정승원 교수의 현대신학 해설
계시
슐라이어막허에게는 경험 혹은 감정이 신학의 궁극적 기준이다. 이것이 바
로 그가 말하는 계시의 형태이다. 계시란 어떤 개념 혹은 문장으로 주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왜냐면 하나님은 모든 개념을 초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다. 또한 계시는 직접 받을 수 없다고 한다. 왜냐면 받는자에 의해 한 번 걸
러야 하는 것...
현대신학 배경(5)- 정승원 교수
현대신학 5
정승원 교수
1. 슐라이어막허
(F. Schleirmacher, 1768-1834)
흔히들 슐라이어막허를 “현대신학의 아버지”라고 한다. 그는 모라비
안 경건주의 영향을 받은 개혁파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도 경건주의
의 영향을 받았지만, 학생 시절 그는 칸트철학과 계몽주의에 심취되었고,
1...
현대신학배경(4) 정승원 교수
현대신학배경(4)
정승원(합신 조직신학 교수)
지난호에 지적한 바와 같이 헤겔의 철학에 가장 중요한 개념은 바로
절대적 '관념' (Idea), 혹은 절대적 '정신'(Geist)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질문을 던질 수 있다. 그러한 절대성(the Absolute)이 있
는지 없는지를 도대체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초월적 절대성이 ...
현대신학 배경 (III) 정승원 조직신학 교수
현대신학 배경 (III)
정승원 조직신학 교수
헤겔 (G. W. F. Hegel, 1770-1831)
현대 신학에 지대한 영향을 준 인물로 칸트외에 또 한 인물이 있다면 그 사람
은 바로 헤겔일 것이다. 비록 헤겔은 슐라이어막허와 동시대 사람이었지만 후
대 많은 현대 신학자들에게 칸트못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고 하겠다. 그래서
현대 신학자들을...
현대 신학 배경 (II) 정승원 교수
현대 신학 배경 (II)
정승원 합신교수
임마누엘 칸트 (Immanuel Kant, 1724-1804)
계몽주의는 현대 신학이 태동하기에 적절한 환경을 조성했다고 한다면 칸트
는 현대 신학의 사상적 틀을 만들어 주었다고 하겠다. 슐라이어막허를 소위
“현대 신학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아마 칸트는 ‘현대 신학의 할
아버지’ 정도 될 ...
현대 신학의 배경 (1) 정승원 목사
현대 신학의 배경 (1)
정승원 목사/ 예손교회, 합신 교수(조직신학)
현대신학의 학문적, 사회적 배경으로 우리는 17세기 말에서 시작해서 한
세기동안 유럽을 휩쓸었던 계몽주의(Enlightenment)를 들 수 있다. 계몽주
의는 인간의 것이 들어갈 여지가 없었던 교회(구·신교)의 통치와 권위로
부터 나와 인간의 것으로 깨우쳐진(enlight...
왜 현대 신학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_정승원 목사
왜 현대 신학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정승원 목사/ 예손교회, 합신 교수(조직신학)
현대신학’ 이라 하면 듣기만 해도 (요새 표현으로) 짜증이 날 것이다. 이
해하기 힘든 용어들과 사변적 개념들이 즐비하니 어찌 아니겠는가?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현대신학은 단지 추상적 세계를 논하는 것
이 아니다. 그 당시 처해 있던 상황과...
세속신학(Secular theology)
정승원 목사(합신 조직신학 교수)
8. 세속신학(Secular theology)
대표적 세속 신학자로 우리는 하비 콕스(Harvey Cox)와 죤 로빈슨(John A.
Robinson)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특별히 창조적으로 신학을 발전시켰다기 보
다는 이전에 여러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사상들을 종합, 적용시켰다고 하겠
다. 특별히 이들은 ...
멘토링시행의 중요성_유화자 교수
멘토링시행의 중요성
유화자 교수/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기독교 교육학
한사람의 인간 성장과 성숙에, 그리고 바른 지도자로 준비되어지는 과정에
서 멘토링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인간양육 방법이다. 일반교육이 인성(人性)
이나 윤리, 도덕 등 바른 인간됨의 가르침에서 그 교육 기능을 상실한지
오래인 현실과, 고도의 산업화와 무신론적 인본주의(無神論的 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