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파괴

0
16

생태계파괴

이선웅 목사<남문교회>

1. 생태계란 무엇을 말하는가?
‘생태계’라는 말은 환경과 유기체와의 연관성을 지칭하기 위해 생겨난 말이
다. 생태계에는 식물, 동물, 미생물의 군집을 포함하여 이들 주변의 모든 환
경이 포함되어 있다.
생태계는 생물군집과 비생물적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물적 부분 가운데 
육지의 식물과 바다의 식물 플랑크톤은 무기질의 영양소를 흡수하여 태양빛으
로부터 생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합성해낸다. 그리고 곤충, 새, 물고기, 짐승 
등은 이 식물들이 합성한 에너지를 사용하게 된다.
생태계는 작용과 반작용을 통해 하나의 조절기능을 형성하고 있다. 즉 생물학
적 체계를 변화시키려는 외부의 작용에 대해 균형을 이루는 힘으로 생태계 조
절기능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생태계와 그 주변환경은 인간의 신체
와 같이 내버려두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느 정도 평형이 유지되어 가는 방
향으로 진행하다가 일정시간이 지나면 안정상태에 달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기능이 약화되
거나 손상되면 생태계가 위기에 처하게 된다. 생태
계의 조절기능의 대표적인 예가 ‘자정작용’(Self purification)이다.
이는 생태계 스스로가 환경오염 물질을 정화하는 능력을 말한다. 사람이나 동
물에게 자연치유 능력이 있듯이 생태계에도 스스로 깨끗해지게 하는 치유 능
력이 있다. 자정작용은 생태계가 스스로 깨끗함을 유지할 수 있는 신비로운 
힘이다.

2. 환경 호르몬
‘환경호르몬’은 환경호르몬으로 추정되는 물질 즉 살충제, 제초제 등의 농
약류, 유기중금속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등이 동물이나 사람의 몸안
에 들어가서 내분비계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교란시키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환경호르몬이 인간이나 동물의 체내에 들어가게 되면 수컷의 정자수를 감소시
키거나 수컷의 암컷화, 성장억제 등을 초래하여 종국에는 인류를 비롯한 지구
상의 모든 생명체의 멸종을 초래할지 모르는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환경호르몬에 대한 최초의 보고는 1970년에 있었으며 이때 이미 생식기 이상 
불임, 자궁기형, 정자수 감소, 뇌발달 장애, 면역기능의 장애 등이 관찰되어 
보고되었다.
1992년에는 덴마크의 연구팀이 20개
국의 건강한 남자 1만1천명을 조사하여 과
거 50년 동안에 남자들의 정자수가 정액 1ml당 1억1천3백만개에서 6천6백만개
로 약 50%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최근 일본에서도 40대 남자들의 평균 정자수가 1ml당 8천4백만개인 반면 20
대 남자들은 4천6백만개로 관찰되었다.
이밖에 대만에서 PCB(폴리염화비페닐)에 오염된 식용유를 섭취한 임산부로부
터 태어난 아이들에게서 성장지연, 주의력 감소, 성기왜소, 성기기형 등이 관
찰되었다. 환경호르몬은 빗물, 호수, 바다, 물, 토양, 식품, 대기, 용기 등 
우리 생활주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이들 물질은 대기, 물, 음식물, 플라스
틱 제품 등을 통해 체내에 유입된다.

3. 유전자 변형식품
인류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서 생물종(種)과 다른 생물체, 즉 재조합생물체
(G.M.O)를 유출시키기에 이르렀다.
현재 우리 식탁에 오르는 G.M.O는 콩, 옥수수, 감자, 토마토 등 11품목에 이
른다. 이와같이 유전공학적으로 변형된 생물종(種)들은 인간에게 어떤 영향
을 미치게 되는가?
1) 어떤 유전자의 기능이 사라질 수 있고 불안정해질 수도 있다. 2) 새로운 
독성물질의 생성가능성이 있다. 3) 생
태계 내의 야생 생물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재조합 생물체(G.M.O)의 대부분은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도록 하여 고독성 제
초제를 뿌려도 작물은 죽지 않고 잡초만 죽게끔 되어 있다. 따라서 작물내 잔
류농약량이 훨씬 많아지게 되며 해충에 저항성이 있도록 만들어져 해충뿐 아
니라 땅속에 유용한 미생물과 곤충, 나비, 새들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
게 된다.
G.M.O가 재배되는 반경 수십km 내에서는 유전자가 전이됨으로써 유기농산물
을 재배하더라도 G.M.O와 섞여버려 G.M.O 작물외의 생명체가 사라진 죽음의 
땅이 되어버린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유전자를 조작해 가지고 우량 한우를 
만들어서 기르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유전자를 조작해서 만들어 기르고 있
는 우량 한우 수십마리가 특정질병에 공통적으로 취약할 뿐 아니라 그에 대
해 속수무책이라는 데 있다. 
지금 인류는 수퍼잡초가 출현하고 바이러스 차단벽을 상실함으로 결국 공멸할
지도 모르는 위기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