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 신학(Process Theology)-(1)
정승원 교수(합신 조직신학)의 현대신학 해설
과정 신학(Process Theology)-(1)
두 호를 거쳐서 과정 신학을 살펴 보도록 하겠다. 과정 신학의 원조로서 우리
는 두 사람을 들 수 있다. 로마 천주교 철학자인 삐에르 떼이야르 드 샤르뎅
(Pierre Teilhard de Chardin)과 하바드와 시카고 대학에서 수학과 철학을 가...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1)
틸리히의 신학을 두 번에 걸쳐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비록 바르트 정도
는 아니더라도 틸리히 역시 현대 신학계의 거물로 본다. 오히려 극단적 자유
주의 써클에서는 바르트보다는 틸리히가 더 환영을 받아왔다고 하겠다. 독일
에서 태어난 그는 독일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일했고 나중에 나찌(N...
위르겐 몰트만 (2)
정승원교수의 현대신학 해설
위르겐 몰트만 (2)
지난 호에 우리는 몰트만의 신학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번호에서
는 간단하나마 그의 신학을 분석 비판하고자 한다. 한마디로 그의 신학은 철
저한 변증법적(dialectical) 신학이다. 그가 말하는 미래 혹은 약속은 바로
칸트가 말하는 본체론적 세계나 바르트가 말하는 전적 타자로...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2)
지난 호에 이어 간단히 틸리히의 신학을 논하도록 하겠다. 지난 호에서 우리
는 틸리히의 신학은 ‘답변의 신학’이요 그의 신학적 방법론은 ‘상관 방
법’임을 살펴보았다. 그에게 하나님이란 모든 존재하는 것을 초월하며 동시
에 존재하는 것과 상관되는 ‘존재 그 자체’이었다. 다른 표현으로 하...
위르겐 몰트만(J rgen Moltmann) (1)
위르겐 몰트만(J rgen Moltmann) (1)
정승원교수
흥미롭게도 몰트만 역시 바르트와 같이 많은 사람들에게서 복음주의 신학자라
고 평가 받기도 한다. 얼마전 한국에 온 몰트만은 그래도 복음주의를 표방하
는 교회에서 강연을 했고, 한 복음주의 신앙서적에 그와의 인터뷰 내용까지
나온 것을 보면 더욱 그것을 실감할 수 있다. 그를 복...
루돌프 불트만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1884-1976) (1)
불트만은 바르트와 틸리히의 동시대 사람으로 당시 이들 못지 않게 신학적 명
성을 날렸다. 그의 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먼저 우리는 실존주의 철학을 알
아야 할 것이다. 특히 그는 마부르그 대학에서 같이 교수로 일했던 실존주의
철학자, 마틴 하이데거(M. Heidegger)에게...
조병수교수의 목회서신 연구(8)-어긋남
어긋남 (딤전 1:6-7)
조병수 교수/ 합신(신약신학)
어긋남은 인간의 본성가운데 하나이다. 앞으로 가려하지만 뒤로 가고, 올라
가려고 하지만 내려가는 것은 인간이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속성의 일부이
다. 오죽하면 사도 바울까지도 고통스럽게 고백했을까. "내가 원하는 바 선
은 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원...
조병수교수의 목회서신 연구(7)-더욱 근본적으로
(딤전 1:5) 더욱 근본적으로
동력이 없으면 동작도 없다. 그래서 동작보다 더 근본적인 것은 동력이다.
사도 바울은 디모데가 어떤 사람들에게 명령을 하도록 에베소에 머물게 하였
다. 디모데의 명령은 다른 교훈을 가르치지 말라는 것이다. 그러면 디모데가
이런 명령을 내리는 근본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그것은 사랑...
칼바르트6
정승원교수의 현대신학해설
먼저 여러 독자분들께 주의 이름으로 문안드립니다. 2001년 새해를 맞이하시
면서 귀댁과 섬기시는 교회에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이 넘쳐나기를 기도합니
다. 그 동안 현대신학 해설을 애독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우리 보수 진영에
서는 '현대 신학' 혹은 '자유주의 신학' 하면 무조건 멀리합니다. 물론 이런
자세도 좋다고 생...
칼바르트5
정승원 교수
(4) 바르트의 역사관 -계속
이 전호에 이어 바르트의 역사관을 좀 더 살펴보기로 하겠다. 이미 살펴 본
바와 같이 바르트는 두 종류의 역사를 말한다. '일반 역사'(Historie)와 '초
역사'(Geschichte)이다. 후자가 바로 진정한 의미의 역사라고 한다. 즉 창조
나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등 성경의 사건들이 우리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