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의 유래
크리스마스의 유래
"크리스마스"의 날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
력한 12월 25일 설은 고대 "로마"에서 지키던 동지 날을 채택한데서 비롯됐
다. 당시 "로마"의 이교도들은 동지절(12월 24일 - 다음해 1월 6일)을 하나
의 대축제적인 명절로 지키고 있었다. 그래서 고대 교회의 "로마" 주교는 기
독교가 이교...
예수님의 탄생 기사와 헤롯 왕(마 2:1)
<성탄 특집>
예수님의 탄생 기사와 헤롯 왕(마 2:1)
마태는 예수의 탄생 시기가 헤롯왕이 통치하고 있던 기간이라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이 땅에 오신 예수의 탄생 일자를 기산(起算)
하기 위함이기도 했으며 이스라엘의 왕통이 단절되고 이방인의 통치가 본격적
으로 실현됨으로써 '홀(笏)이 유다를 떠나고 치리...
성탄절 행사로 성육신을 기념할 수 있는가?_황희상
성탄절 행사로 성육신을 기념할 수 있는가?
(부제/교회는 성탄 사건을 바르게 기념하고 풍성한 그 의미를 누려야 한다)
기독웹진 voice21 편집장 황희상
성탄절은 그 유래 자체가 이교(異敎)적이다. 더구나 성탄절에 행해지는 각종
풍습과 놀이 또한 로마 카톨릭의 축제에서 비롯한 것으로 개혁 교회의 전통에
서 볼 때 우리는 더 이상 이...
감사가 흰눈처럼 쌓이는 세상_김순영 권사
감사가 흰눈처럼 쌓이는 세상
김순영 권사<전국여전도연합회장·염광교회>
하나님이시지만 참 사람으로 오셔서 우리를 구원하신 예수님의 탄생을 특별
히 기억하고 감사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해마다 맞이하는 성탄절이지만 올해는 이런 성탄절을 보내고 싶습니다.
첫째로, 세상의 들떠있는 축하가 아니라 성탄의 진정한 주인공이신 예수님으
로 인...
메시야 탄생의 의의_박형용 총장
메시야 탄생의 의의
박형용 총장
합동신학대학원 대학교
올해도 어김없이 성탄절이 다가왔다.
메시아의 탄생을 생각할 때 명백히 해 두어야 할 점은 이 사건이 초자연적인
사건이라는 것이다. 오늘날 기독교의 초자연성을 부인하려는 시도가 여기저기
서 들린다. 그런 시도 속에는 생명이 없다. 메시야 탄생의 초자연성을 믿지
못하면서 메...
청교도 운동과 한국 장로교회_김영재 교수
청교도 운동과 한국 장로교회
김영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1. 청교도의 신앙 전통과 청교도의 경건
한국 장로교회는 미국 북장로교, 남장로교, 호주 장로교와 캐나다 장로교에
서 온 선교사들이 1893년 장로교 공의회를 형성하여 한국에 하나의 장로교회
를 설립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들 장로교회들이 다 청교도의 전통에 속하며 선
교사들은...
시골 목회_박종훈 목사
시골 목회
박종훈 목사 / 궁산교회
육 년 전에 시작된 사택과 교회당 건축을 이번 종탑공사로 완전히 마치게 되
었다.
삼층 높이에서 이루어지는 종탑공사를 처음부터 마칠 때까지 거들어주는 사
람 하나 없이 틈나는 대로 하다보니 한달이나 걸렸다. 자재를 위로 올릴 때
는 몇 단계를 거쳐서 마치 다람쥐가 나무에 오르내리듯 하기를 수십 번이...
Peter Barnes의 예수를 바라보자 (“Seein...
Peter Barnes의 예수를 바라보자 (“Seeing Jesus”)
역자 이대우 장로/ ALM복음회 회장, 벨직신앙고백해설 저자
인성 안에 감추어진 신성을 보라
1. 육체를 갖게 된 하나님을 찬양하라
성경에 의하면 우리를 구원에 이르게 하는 그리스도의 모양이 있다. 그것은
그리스도의 인성만으로가 아니고, 그리스도의 영광스...
우리 헌법책(1996년판)의 오류를 지적하며_이차식 목...
우리 헌법책(1996년판)의 오류를 지적하며
덕일교회 이차식 목사
한국장로교회 헌법의 모체는 J.A.Hodge의 교회정치 형태와 미국 북장로교
의 헌법이다. 그러나 우리 헌법은 J.A.Hodge의 신학이나 미 북장로교의 헌법
을 그대로 채용하지 않았다.
단지 그것들은 참고하여 웨스트민스터 헌법과 미개혁주의 헌법을 기초로 하
여 오히려...
공공장소 단군상 이대로 둘 것인가 ?_권한국 목사
공공장소 단군상 이대로 둘 것인가 ?
권한국 목사 (단군상대책위원장)
대한민국은 동방의 예루살렘이라는 찬사를 받을 정도로 하나님의 놀라운 축복
을 받았습니다. 우리 믿음의 선조들의 기도와 희생으로 교회 부흥과 국가 발
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한때는 일본의 탄압에 굴복해 신사참배라는 굴욕적
인 결정을 하기도 하였고 교만하고 방탕하여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