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과 무지 _김영철 목사
부활과 무지
고린도전서 15:29-34
김영철 목사/ 수원노회
우리가 잘 아는 말 가운데 "모르는 것이 약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것과
부딪치는 말이 있는데 그것은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입니다. 그러나 이
말이 부딪친다고 생각하는 것은 이 말들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고 있기 때문입
니다. 이 말들은 '언제나 모르는 것...
복음과 부활 _김영철 목사
복음과 부활
고린도전서 15:12-19
김영철 목사/ 수원노회
많은 사람들은 예수님을 믿으면 병이 낫고 복을 받는다고 전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교회에 발을 들여놓았습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교회는 이들을
제대로 가르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교인들은 많아졌으나 정작 주님을 의지
하는 참 신자는 늘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예수님이 죽으신 결과
< 故 박윤선 목사님 설교>
예수님이 죽으신 결과
본 문: 히 2:14
예수님이 죽임을 당하심으로 이루신 구원 역사 가운데 한 가지는 인류의 대
적 마귀를 멸하신 사실이다.
마귀는 예수님을 죽임으로써 자기가 승리할 줄로 알았다. 그는 가룟 유다
의 마음에 역사하여 에수님을 팔려는 생각을 넣어 주었고(요13:2)...
부활한 생명으로 충만하자_최 충산 목사
부활한 생명으로 충만하자
고전15:20
최 충산 목사(충청노회장)
4월은 주의 부활을 기리는 점에서 더 좋습니다. 전쟁의 공포로 시작한 이 새
봄에 부활의 생명으로 충만하기를 원합니다. 세상에는 늘 전쟁이 있었습니
다. 전쟁을 통하여 파괴적 본성을 그대로 드러내 온 것이 인간 역사였습니
다. 힘의 우위를 통하여 패권적 질서를 부여하고,...
그리운 삼보 할머니_변이주 목사
<부활절 특집>
그리운 삼보 할머니
변이주 목사/ 알곡교회
이변이라면 이변이었다. 어쨌든 죽은 것으로 판명된 사람이 살아났다는 것은
이변 중에도 이변이 아닌가!
삼보 할머니는 분명히 임종을 하셨고, 나는 교인들과 더불어 임종 예배를 드
리고 왔다. 가족들은 이미 관과 수의를 준비했고 가까운 친척들에게 전화로
할머...
복음과 믿음 김영철 목사
부활절 특집 (1)
복음과 믿음 <고린도전서 15:1-11>
김영철 목사/ 수원노회
2000년 전에 바울이라 불리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사도가 있었습니
다. 이 분이 이 곳 저 곳을 다니며 복음을 전하다가 고린도에서 복음을 전하
게 되었습니다. 그 덕택에 고린도에 교회가 세워지게 되었습니다. 바울은 나
중에...
보편적인 교회_이홍년 목사
특별기고-개혁주의 교회관
보편적인 교회
이홍년 목사/전남노회
요즘 신자들은 교회의 보편성에 대해 오해하고 있는 것 같다. 교회는 보편성
이 있어야 한다 해서 기성교회(지금 우리 사회에 만연한 교회)와 똑같이 하
든, 아니면 그와 비슷하게 해서 차이가 부각되지 않게 하는 것을 보편성이라
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교회의 보편성...
미국 장로 교회 헌법과 정통 개혁주의 신학의 정치론_ ...
미국 장로 교회 헌법과 정통 개혁주의 신학의 정치론
배현주 목사/ 중서울 노회
들어가는 말
역사적으로 한국 장로 교회 헌법은 미국 장로 교회 헌법을 모체로 하여서 발
달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국 장로 교회 헌법을 연구하고 그것을 다
시 정통 장로 교회 정치 원리와 비교 검토하는 것은 한국 장로 교회 헌법의
기초가 어디...
미국 장로교 헌법과 한국 장로교 헌법과의 관계_민성기목...
미국 장로교 헌법과 한국 장로교 헌법과의 관계
민성기목사, 충청노회
1. 머리말
한국 장로교회의 정체성은 장로교 헌법을 철저히 지키고자 할 때 세워지며 장
로교의 독특성이 구별되리라 생각된다. 오직 성경을 원리로 하여 역사적으로
가장 좋은 정치형태가 심어진 것이 장로정치라 할 수 있다. 현 한국교회 실정
이 개교회주의로 흐르고 있기...
한국장로교 권징조례의 발전역사와 그 신학적 문제점_김인...
한국장로교 권징조례의 발전역사와 그 신학적 문제점
김인석 목사(경기중노회)
1. 한국장로교 권징조례의 발전역사
한국에 처음으로 독노회가 조직된 것은 1907년 9월17일 9시 평양 장대현교회
(혹은 중앙교회)에서였다. 1907년 독노회가 조직되면서 매년 예수교장로회헌
법에 대한 작성이 활기를 띄었다. 1917년까지 헌법과 관련되어 계속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