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이 신앙을 파괴하지 않도록 하라
신학이 신앙을 파괴하지 않도록 하라
신학은 하나님을 아는 것과 하나님의 백성으로 사는 일과 관계있다. 이 말은 신학이란 하나님의 말씀이 담지하고 있는 진리에 대한 가감 없는 바른 진술과 오늘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현실과 삶에 대한 진술을 동시에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영원이 시간과 맞닿는 자리에 신학은 존재하는 것...
|광야의 소리| 하나님의 나라를 드러내는 삶_송영찬 국...
하나님의 나라를 드러내는 삶
< 송영찬 국장 dan7777@dreamwiz.com >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로서 하나님과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얻어진 새로운 신지식(神知識), 곧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 합당한 생활을 해 나갈 때에, 거기에는 이 세상 생활의 양태와는 다른 새로운 삶의 형태가 발생하게 된다. 우리는 이 ...
|목회칼럼| 임직 받는 목사, 강도사에게_심훈진 목사
임직 받는 목사, 강도사에게
< 심훈진 목사, 동작중앙교회 >
“성도들 위해 온전하게 봉사하며, 주님의 몸 된 교회 굳게 세워가야”
“소명”(召命)이라는 말을 제대로 알고 있습니까? 기독교에서는 교역자들이 하나님께 소명을 받았다고 흔히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르심“이라는 하나님의 ...
|시론| ‘종교개혁 기념’과 ‘교회개혁 실천’_이광호 ...
‘종교개혁 기념’과 ‘교회개혁 실천’
< 이광호 목사, 실로암교회 >
“교회의 표지 사라지고 직분제도 허물어진 것은 심각한 부패 현상”
마르틴 루터는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 대학의 예배당 정문에 95개 조항의 항의문을 내걸었다.
그것은 부패한 로마 가톨릭교의 부정부패에 대한 저항의 표시였...
|사설| 지켜져야 할 목사의 선서
지켜져야 할 목사의 선서
현대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기원전 460년에 태어난 것으로 알려진 히포크라테스의 원래의 선서문을 상당부분 변형하거나 축약하여 1948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세계의사협회(WMA)가 작성한 것이다. 이는 2차 세계대전 당시에 나치의 범죄에 의사들도 적극 참여했던 비극을 반성하는 의미로 선서하도록 제정한 것이라고 한다.
1...
|사설| 정암 신학 강좌가 남긴 숙제
정암 신학 강좌가 남긴 숙제
한국교회에서 개혁주의 신학의 본격적인 유입은 수십 년 전부터 시작되었고 알음알음 꾸준히 전파되었지만, 수면에 부상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개혁주의를 전혀 모르던 뭇사람들의 뇌리에 분명히 각인되고 크게 알려진 것은 최근 수년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에서 개혁주의는 백일도 안 된 갓난아기인 셈이다. 그런데 여기...
|목회수상| 불인지심(不忍之心)_장석진 목사
불인지심(不忍之心)
< 장석진 목사, 광주월산교회 >
“장애인들 역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았기에 소중히 여겨져야”
인간에게는 남의 불행을 차마 눈뜨고 보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 굶어서 고통 받는 저개발 국가나 북한 어린이의 굶주린 사진을 보게 되면 가슴이 찡해진다.
이처럼 고...
|제언| 우리 교단에 이런 조직이 필요합니다._최일환 ...
우리 교단에 이런 조직이 필요합니다.
< 최일환 목사, 장안중앙교회, 총회 부서기 >
“전략과 목표를 설정하여 추진하는 기획위원회 기구 필요해”
지난 총회는 합신교단이 한국교회의 자랑이라고 스스로 자부할 수 있을 정도로 은혜 가운데 회의를 마쳤다.
실제로 우리 교단 총회는 자랑할...
|광야의 소리| 우리의 약함 속에 담겨 있는 능력_송영...
우리의 약함 속에 담겨 있는 능력
< 송영찬 국장 dan7777@dreamwiz.com >
바울의 신비스런 셋째 하늘에 대한 경험은 그를 자고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지만 육체의 가시는 그를 이 땅에 묶어둠으로써 오히려 그리스도의 능력을 경험하게 하는 은혜의 수단이 되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의 능력이...
|목회칼럼| 교인 수 감소, 목사와 교회 수 증가_정요...
교인 수 감소, 목사와 교회 수 증가
< 정요석 목사, 세움교회 >
“신학교가 정원을 줄이고 좋은 목회자 배출할 수 있게 후원해야”
통계를 보면 합동 교단의 2013년 교인수가 직전 연도에 비해 무려 4.6%, 약 13만 8천 명이 감소했다. 웬만한 군소 교단 교인 수보다 많은 숫자가 감소한 것이다. 통합 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