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의와 성화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오는 오류

칭의와 성화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오는 오류   작금 회자되고 있는 칭의와 성화와 관련된 이해에서 상당수의 신자들이 오해할 여지를 담고 있어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필요로 한다.   잘 알고 있다시피 그리스도 안에서의 연합이라는 하나의 실체로서의 구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때,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심각한 구원론적 오류에 직면하게 된다.   ...

개혁신앙과 하나님의 은혜

개혁신앙과 하나님의 은혜   개혁신앙이란, 먼저는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인정하는 신앙이며, 다음으로는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신앙이다. 전자는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구원의 큰 일에 대한 신앙고백이며, 후자는 바로 그 하나님의 현재적 통치에 부응하는 삶의 고백이다.   따라서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 베푸심...

최고가 곧 최선이라는 착각_남웅기 목사

최고가 곧 최선이라는 착각   < 남웅기 목사, 대구바로선교회 >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사람이거나 유력자들도 심판 받을 수 있어”     우리가 하나님께 정말 조심스러워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그건 죄와 실수로 인한 두려움이 아닙니다. 실패에 대한 부끄러움도 아닙니다. 큰일을 이루지 못한 민망함도 아닙니다. 그건 ‘내가 지...

갈라디아서의 중요한 두 가지 논제_송영찬 국장

갈라디아서의 중요한 두 가지 논제   < 송영찬 국장 dan7777@dreamwiz.com >   바울은 2장 15-21절에서 갈라디아서의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두 가지 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율법은 그리스도인이 되는 데 아무런 긍정적 역할을 하지 않는다. 이것은 율법주의, 즉 율법을 지킴으로써 공로를 쌓는다는 주장을...

이 세상에서 사람이 무엇을 만들 수 있는가?

이 세상에서 사람이 무엇을 만들 수 있는가?   < 김영규 목사 > ·개혁주의성경연구소장   ·뉴욕과학아카데미(NYAS) ·미국과학 진흥협회(AAAS) ·미국화학학회(ACS) 초청회원   “하나님을 떠나서는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지구조차 있을 수 없어”   우리가 '순간'이란 것을 0과 1 사이에 아무리 크게 쪼개어 생각한다고...

건강한 가정을 위한 부부간의 소통_가정호 목사

건강한 가정을 위한 부부간의 소통   < 가정호 목사, 세대로교회 >   “가정 중심의 신앙생활을 부지런히 세워가는 일에 힘써야”   한 해 동안 감당했던 목회를 마무리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시점입니다. 사실 마무리라 하지만 또 시작되는 새해의 1월 1일은 지난 12월 31일 다음날에 있으므로 실상은 연속되는 날들입니다.   그래도 ...

나쁜 지도자들_이광호 목사

나쁜 지도자들   < 이광호 목사, 실로암교회 >   “불의를 일삼는 조직에 충성한다는 것은 하나님을 거역하는 것”   이 나라가 과연 어디로 가고 있는가?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미국은 순수하고 정직한 나라인가?   국가의 지도자들이 전체적으로 부패한 지경에 빠지게 되면 암울한 상황이 도래할 수밖에 없다. 거짓말을 일삼는 지도자들이...

갈라디아서의 중요한 두 가지 논제 _ 송영찬 국장

갈라디아서의 중요한 두 가지 논제 < 송영찬 국장 dan7777@dreamwiz.com > 바울은 2장 15-21절에서 갈라디아서의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두 가지 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율법은 그리스도인이 되는 데 아무런 긍정적 역할을 하지 않는다. 이것은 율법주의, 즉 율법을 지킴으로써 공로를 쌓는다는 주장을 반대한다(갈 2...

고도(altitude) 혹은 태도(attitude)_정...

고도(altitude) 혹은 태도(attitude)   < 정요석 목사, 세움교회 >   “교회는 1등주의를 떠나 2등도 기억하고 격려하는 자세 가져야”     지금까지 히말라야의 14좌를 완등한 팀들은 세계에서 30팀 정도이다. 우리나라는 엄홍길, 박영석, 한완용, 오은선, 김재수, 김창호 등 6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다.   ...

우리의 유일한 왕은 그리스도이시다

우리의 유일한 왕은 그리스도이시다   교회는 하나님께 절대적으로 충성하도록 부름을 받았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은 국가 권력이나 물질주의자나 문화주의자들의 요구에 도전하는 것이 된다. 교회는 더 높은 권세를 바라보고 있기에 이것은 앞에 열거한 세속주의자들의 심기를 건드리고 불쾌하게 만든다. 뿐만 아니라 교회의 삶과 가르침은 세상에서 높이 존중받고 숭배 받...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