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것은 좋은 것?_김창호 목사

옛 것은 좋은 것? < 김창호 목사, 경기서노회 > “날마다 주님의 재림을 기다리며 사모하는 믿음의 성숙 회복해야”   어느 광고 문구에 ‘옛 것도 좋은 것이요’라는 것을 보고 과연 옛 것이 좋은 것인가는 의문을 갖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다’라는 말씀 가운데 어제가 좋...

두더지와 쥐_허태성 목사

두더지와 쥐 < 허태성 목사, 강변교회 > “성공만 하면 하나님께서 영광 받으실 거라고 착각하지 말아야”   6.25 전쟁 후의 베이비 부머(Baby boomer) 세대의 일원으로 태어난 필자에게 어린 시절 기억은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난 60년대 중반부터이다. 그때 우리나라의 국민소득(GNP)은 79달러였으니 정말...

한국교회의 신뢰도 조사 결과를 보고_성주진 목사

한국교회의 신뢰도 조사 결과를 보고 < 성주진 목사, 합신교수 > “성도의 삶과 신학을 풍요롭게 하는 가르침 실천에 옮겨야”   최근 기독교윤리실천운동에서 발표한 ‘2013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에 따르면 시민들의 종교별 신뢰도가 가톨릭(29.2%), 불교(28.0%), 기독교(21.3%) 순으로 나타났...

외모지상주의로부터 탈피하자_황대우 목사

외모지상주의로부터 탈피하자 < 황대우 목사, 고신대 교수 > “교회 안에서도 비인간적이고 비인격적인 시각과 평가 난무해” 어느 시대이건 외모에 관심이 없었던 적은 없는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처럼 외모지상주의가 대세인 시대도 흔치 않아 보인다. 그래서 요즘 젊은이들은 외모에, 특히 얼굴과 몸매에 목숨을 거는 것처럼 보인다....

언약은 그 자체가 은혜다

언약은 그 자체가 은혜다   우리는 종종 언약을 말할 때 하나님과 인간의 쌍방적 요소를 들어 수평대등한 구조로 착각할 때가 많다. 하지만 언약이 언약 당사자간의 쌍방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언약은 근원적으로 은혜의 성격을 띤다. 타락 전 하나님께서 아담과 맺으셨던 행위언약도 역시 마찬가지다. 행위언약이든 그 이후 인간의 범...

죽음의 고난과 부활의 영광

죽음의 고난과 부활의 영광   바울은 그리스도를 역사적인 사실로 아는 것만으로 만족하지 않고 그의 삶 속에 항상 살아 있는 부활한 주로서 알고 싶어 했다. 그리고 바울이 알고자 하는 ‘능력’은 그리스도와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부활한 그리스도가 부여받은 능력이었다. 곧 바울은 그의 부활로 말미암아 발휘되는 능력을 체험함으로써 그리...

십자가 없는 하나님나라 운동을 배격한다

십자가 없는 하나님나라 운동을 배격한다   우리는 종종 불신자들에게 남겨진 ‘일반은총’ 혹은 타락한 이후에도 여전히 하나님께서 죄인들에게 남겨두신 ‘잔여물’ 때문에 마치 저들 안에 선한 것들이 있으며 그것들이 참된 가치가 있는 것처럼 여기곤 한다.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불신자 안에 있는 선한 그것들이 마치 하나님 나라의 가치라고까지 생각...

기독교 교리와 청교도 서적의 중요성

기독교 교리와 청교도 서적의 중요성   최근 교리와 청교도 서적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여파인지 몰라도 ‘교리는 무용한 것인가?’ 또는 ‘신앙 서적, 특히 청교도 서적은 그 당시에만 통용 가능하고 오늘날에는 도움이 안 되는 고루한 것이기만 한가?’ 하는 질문도 높아지고 있다. 잘 아다시피 성경 말씀, 즉 진리는 변하지 않는다...

거짓된 체험신앙, 이제는 버려야 할 때

거짓된 체험신앙, 이제는 버려야 할 때   우리 신자들 중에는 소위 체험신앙 또는 신비적 체험신앙을 갈망하는 이들이 더러 있는 모양이다. 사실 종교는 세인들에게 신비적 체험을 제공하는 통로가 되기도 하지만 과연 기독교 신앙을 그와 같은 저속한 세속적 체험으로 대신할 수 있는지 돌아보아야 할 일이다. 기독교 신자들 중에는 소위 ‘예언...

신자들이 이땅에서 살아가는 원칙_송영찬 국장

신자들이 이땅에서 살아가는 원칙   < 송영찬 국장 dan7777@dreamwiz.com >   우리는 날마다 태양이 떠오르는 경이로운 세상을 살고 있다. 아무도 태양을 하늘에 메달 사람이 없고, 누구도 태양이 떠오르는 것을 막지 못한다. 이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생명이 그만큼 경이롭다는 것을 가리킨다.   아무리 세상이 경천동지하고 마...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