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나물은 소리없이 자란다” 이기학 목사

0
10

“콩나물은 소리없이 자란다”

이기학 목사_아름다운고백교회

새벽 두시경 막 잠자리에 들고 있는데 핸드폰소리가 정적을 깨어 감았던 눈
을 뜨고 전화를 받았다. 

“여보세요.” 
“목사님! 그동안 평안하셨어요! 새벽에 전화를 드려 죄송해요. 저 전 아무개
입니다.” 
“그래, 무슨 일이야.” 
“저 목사님을 뵙고 싶고, 음성을 듣고 싶어 염치 불구하고 이렇게 전화를 했
습니다.” 
“괜찮아, 그래 무슨 일이 있는 것은 아니고?…” 

한참 동안 이런저런 대화를 하다가 갑자기 이 친구가 울음이 섞인 목소리로 
흐느끼는 것이다. 얼마동안 울다가 진정한 후에 말하기를 출소 1년이란 세월
이 너무나 힘이 들었다는 것이다. 누구하나 반겨주는 이 없고 가족, 친척, 이
웃들이 시선이 너무나 괴로워 다시 교도소에 갈려고까지 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교도소 안에 있을 때 목사님의 말씀이 생각이 나서 ‘그래, 사람들
에게 인정을 받고자 하지 말고 내가 사람들을 인정해 주면서 하나님 앞
에 열
심히 새로운 삶을 살아보자. 그리고, 사람들이 지금 나를 색안경을 끼고 보
는 것은 바로 나의 지난 행위 때문에 그런 것이지 저 사람들의 잘못이 아니
다. 내가 미워서 아니, 지난 내 행위가 흉악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 내가 잘 
살아가는 것을 보기 위해 저들은 나를 염려의 눈으로 보는 것이다’라는 생각
이 들었다는 것이다. 

출소 후 6개월 동안은 많은 방황도 했고 자살과 재범을 하여 다시 교도소로 
가서 사람들의 시선을 피하고자 했지만, 사람을 보지 않고 내가 교도소에 있
을 때 나를 찾아오신 그 하나님을 바라보고 십자가를 바라보니 마음에 안정
과 평안이 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출소자, 즉 전과자라는 꼬리표는 있지만 열
심히 살아서 교도소에서 나를 격려해 준 보안과 직원이나 교무과 직원들에게
도 부끄럽지 않는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는 것이다. 

그런 마음이 들자 공사판에도 찾아가 노동을 했고, 비록 막노동이지만 일이 
있음을 감사하라는 목사님의 말씀을 거울삼아 정말 피가 나도록 일을 하다보
니, 이제는 주변의 사라들도 자기를 보는 시선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1년이 지난 후 교도소 
가긴 전에 가졌던 용접기술로 교도소의 영선부에서 일
을 하면서 배우고 경험한 것을 통해 정말 사람 안 보고 나를 구원하신 예수님
을 바라보면서 일을 하니 이제는 작업 과장이라는 직책도 받았다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결혼까지 하게 되어 너무나 기뻐 늦게나마 이 소식을 알리고 
싶다는 것이다. 그리고는 내년 2006년 봄에 결혼을 하게 되니 나보고 주례를 
서달라는 청탁이다. 

전화를 끊고 밤을 뜬눈으로 세웠다. 이 친구가 처음 청송 제2교도소 수용자
의 신분으로 만났을 때, 눈에는 살기가 있고, 마음에는 무엇인가 불안하고 초
조함이 가득하여 혈기를 잘 냈지만, 그래도 성가대에 들어와서 찬양을 하고 
싶어하기에 다른 것을 안 보고 찬양하고 싶어하는 그 마음만 보고 성가대에
서 봉사하게 하면서 이 형제의 마음의 문을 열기 시작했다. 
몇 년의 세월이 흐른 후 이 형제는 다른 수용자들에게도 인정을 받아 다른 소
로 이감을 가기까지 기독교 총무를 했었다. 그 후 다른 소에서 1년의 세월이 
지난 6월 출소하고 이렇게 기쁜 소식을 전하니, 내 마음에서 감사의 울음과 
겨울은 봄을 위해 준비함에 대해 다시 한번 봄을 준비하는 
나무들의 생기를 
보았다. 

다른 사람들이 이런 말을 자주 한다. 왜 그렇게, 교도소에 가느냐고. 그 사람
들은 절대로 변하지 않고 오히려, 목사님 같은 사람들을 이용하기만 하니 교
도소에 가기보다는 장애인이나 미혼모 그리고, 청소년들에게 목사님의 에너지
를 투입하라고.

그때마다 이런 말을 했다. ‘콩나물시루에 때를 따라 물을 주면 검은 천으로 
쌓여 안을 볼 수 없지만 그 시루 안에 있는 콩나물은 소리 없이 자란다’고 
말이다. 

교도소 교정의 일은 마치 시루 안에 있는 콩 같은 것이다. 그리고 봄을 준비
하기 위한 겨울의 한 그루의 나무와 같은 것이다. 나무가 봄에 꽃이 피기 위
해서는 받드시 겨울을 이기어야 한다. 수용자들도 각 가지의 나무들이 봄에 
꽃을 피우기 위해 겨울의 시련을 극복하고 그 안에서 인내하고 새로운 준비
를 하듯이 준비하는 것과 같다. 겨울에 꽃이 없고, 열매가 없어 몰골이 흉측
하다고 그 나무가 죽은 것은 아니다. 

수용자들의 지난 삶의 내용들이 흉측하고 흉악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탈을 
쓴 마귀 같다하더라도 우리는 그들에게 돌을 던지는 것이 아니라, 사랑을 주
어야 
한다. 물이 있는 나무는 꽃도 피고 열매를 맺지만 물이 없는 나무는 아
무리 탐스러워도 말라 죽는다. 교정의 일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