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오염
토양오염
이선웅 목사(남문교회)
1. 심각한 토양오염
토양오염이란 오염으로 인해 땅이 변질되어 땅이 땅으로서의 구실을 못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토양의 재생력을 막는 썩지 않는 폐
기물과 생태계를 파괴하는 독성이 들어 있는 유해성 폐기물을 마구 땅에다 매
립하고 있다. 그리고 화학비료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지금 우리나...
과정 신학-Process theology(3)
정승원 교수의 현대신학 해설
과정 신학-Process theology(3)
지난 호에 이어 과정 신학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과정
철학에서는 '창조성'(creativity)과 하나님을 동일화하지 않는다. 둘을 동일
화하면 어떤 실체(substance)의 존재를 인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불변의 존
재를 인정하고 다원론이...
개혁주의의 옷과 잣대
개혁주의의 옷과 잣대
신종호 목사 (대동교회)
나의 설교를 두고 어떤 성도는 '우리 목사님은 성경만 가지고 설교하시는
데 우리는 은혜를 못받습니다'하고, 또는 '우리 목사님이 성경을 깊이 연구하
시면 우리는 더욱 혼선만 생깁니다'하며, 또는 '우리 목사님은 심방설교는 잘
하시는데 강단설교는 그렇지 못합니다' 하는데 나 역시 의미있다고 보면서...
환경이 살아야 생명이 산다 – 수질오염
이선웅목사(남문교회)
환경이 살아야 생명이 산다.
Ⅲ. 수질오염
1. 지구의 물은 97 %가 바닷물이다.
바닷물을 제외하고 나면 나머지는 3%밖에 되지 않는다. 그나마 2%는 얼음으
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가 실제적으로 쓸 수 있는 물은 1% 밖에 되지 않는
다. 이 물은 강, 호수, 시내, 지하수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이 물이 ...
환경이 살아야 생명이 산다 – 대기오염
이선웅 목사(남문교회)
환경이 살아야 생명이 산다.
2. 대기오염
1.「대기오염」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
가령 지구의 반경을 1m의 공(ball) 이라고 가정할 때 대기층은 1mm 미만
의 두께를 형성하게 된다.
매우 얇은층 이라고 할수 있다. 바로 이곳의 오염을 대기오염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세기 마지막 30년동안 인구...
환경이 살아야 생명이 산다.
이선웅 목사(남문교회)
환경이 살아야 생명이 산다.
1. 창조질서를 보전하자
1. 환경이란 무엇인가 ?
환경이란 인간이 호흡하는 공기, 마시는 물, 식량을 얻는땅 그리고 모든 생태
계와 나아가서는 우주공간등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요소를 말한다.
하나님은 이런 모든환경을 인간을 위해 지으셨다.
하나님은 인간을 지으시기 전에 먼저...
과정 신학(Process theology) (2)
정승원교수(조직신학)의 현대신학 해설
과정 신학(Process theology) (2)
지난 호에 화이트헤드의 과정 철학을 간략하게 살펴 보았다. 이제 과정 신학
이 무엇인지 살펴 보도록 하겠다. 한마디로 과정 신학이란 과정 철학의 개념
들 위에 신학적 용어들로 옷 입히운 것뿐이다. 이런 이유로 해서 우리는 과
정 신학의 주장들을 신학적 차...
과정 신학(Process Theology)-(1)
정승원 교수(합신 조직신학)의 현대신학 해설
과정 신학(Process Theology)-(1)
두 호를 거쳐서 과정 신학을 살펴 보도록 하겠다. 과정 신학의 원조로서 우리
는 두 사람을 들 수 있다. 로마 천주교 철학자인 삐에르 떼이야르 드 샤르뎅
(Pierre Teilhard de Chardin)과 하바드와 시카고 대학에서 수학과 철학을 가...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1)
틸리히의 신학을 두 번에 걸쳐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비록 바르트 정도
는 아니더라도 틸리히 역시 현대 신학계의 거물로 본다. 오히려 극단적 자유
주의 써클에서는 바르트보다는 틸리히가 더 환영을 받아왔다고 하겠다. 독일
에서 태어난 그는 독일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일했고 나중에 나찌(N...
위르겐 몰트만 (2)
정승원교수의 현대신학 해설
위르겐 몰트만 (2)
지난 호에 우리는 몰트만의 신학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번호에서
는 간단하나마 그의 신학을 분석 비판하고자 한다. 한마디로 그의 신학은 철
저한 변증법적(dialectical) 신학이다. 그가 말하는 미래 혹은 약속은 바로
칸트가 말하는 본체론적 세계나 바르트가 말하는 전적 타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