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 신학(Process Theology)-(1)

정승원 교수(합신 조직신학)의 현대신학 해설 과정 신학(Process Theology)-(1) 두 호를 거쳐서 과정 신학을 살펴 보도록 하겠다. 과정 신학의 원조로서 우리 는 두 사람을 들 수 있다. 로마 천주교 철학자인 삐에르 떼이야르 드 샤르뎅 (Pierre Teilhard de Chardin)과 하바드와 시카고 대학에서 수학과 철학을 가...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1) 틸리히의 신학을 두 번에 걸쳐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비록 바르트 정도 는 아니더라도 틸리히 역시 현대 신학계의 거물로 본다. 오히려 극단적 자유 주의 써클에서는 바르트보다는 틸리히가 더 환영을 받아왔다고 하겠다. 독일 에서 태어난 그는 독일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일했고 나중에 나찌(N...

위르겐 몰트만 (2)

정승원교수의 현대신학 해설 위르겐 몰트만 (2) 지난 호에 우리는 몰트만의 신학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번호에서 는 간단하나마 그의 신학을 분석 비판하고자 한다. 한마디로 그의 신학은 철 저한 변증법적(dialectical) 신학이다. 그가 말하는 미래 혹은 약속은 바로  칸트가 말하는 본체론적 세계나 바르트가 말하는 전적 타자로...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2) 지난 호에 이어 간단히 틸리히의 신학을 논하도록 하겠다. 지난 호에서 우리 는 틸리히의 신학은 ‘답변의 신학’이요 그의 신학적 방법론은 ‘상관 방 법’임을 살펴보았다. 그에게 하나님이란 모든 존재하는 것을 초월하며 동시 에 존재하는 것과 상관되는 ‘존재 그 자체’이었다. 다른 표현으로 하...

헌법개정안의 수의 과정’을 보면서

헌법개정안의 수의 과정'을 보면서 윤성목 목사 <광주서부교회> 한 교단의 헌법은 그 교단의 신앙고백과 그 교단이 표방하는 교회정치를 규정 하는 것으로서 교단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한다. 특히 우 리 교단의 헌법은 1970년대 말의 얼룩진 한국교회의 부패와 교권주의의 횡포 에 대항하여 교회의 순수성을 보존하고 나아...

위르겐 몰트만(J rgen Moltmann) (1)

위르겐 몰트만(J rgen Moltmann) (1) 정승원교수  흥미롭게도 몰트만 역시 바르트와 같이 많은 사람들에게서 복음주의 신학자라 고 평가 받기도 한다. 얼마전 한국에 온 몰트만은 그래도 복음주의를 표방하 는 교회에서 강연을 했고, 한 복음주의 신앙서적에 그와의 인터뷰 내용까지  나온 것을 보면 더욱 그것을 실감할 수 있다. 그를 복...

기독교의 샤마니즘

기독교의 샤마니즘 대구 동흥교회 장로 박동국  사이비 종교의 교주들이 TV나 매스컴에 등장할 때마다 우리들을 일깨워 주 는 한가지 사실은 '인간은 신이 아니며 또 신이 될 수도 없는데, 신이 될려 고 하고 또 신처럼 행세하려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지식의 유무를 막론하 고 신이 아닌 사람에게 복종하여 섬기다가 가정을 파괴하고, 가산을 탕진...

헌법 수의 좀더 신중하길

헌법 수의 좀더 신중하길 김용주 목사/ 소식교회 우리에게는 성 삼위 일체이신 하나님이 계시고, 그 분의 자기 계시가 있다.  우리는 너무나 많은 은택을 성 삼위 일체이신 하나님으로부터 받아왔다. 또  성 삼위 일체이신 하나님의 자기 계시로부터 계속해서 공급받는다. 또한 우리 에게는 대단히 훌륭한 개혁교회 정통성을 계승시켜 주신 스승들이 있어...

「인간복제」는 창조주에 대한 도전이다

「인간복제」는 창조주에 대한 도전이다 이선웅 (남문교회 담임목사) 1. 게놈지도 완성 최근 그동안의 게놈(genome)연구가 결실을 보게되어 드디어 미국에 있는 게 놈연구소에서「인간 게놈지도」를 완성했다는 대대적인 보도가 있었다. (2001. 2. 10) 게놈 프로잭트를 완성했다는 말은 학문적으로 말하면, 인간유전자의 정체 를...

루돌프 불트만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1884-1976) (1)  불트만은 바르트와 틸리히의 동시대 사람으로 당시 이들 못지 않게 신학적 명 성을 날렸다. 그의 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먼저 우리는 실존주의 철학을 알 아야 할 것이다. 특히 그는 마부르그 대학에서 같이 교수로 일했던 실존주의  철학자, 마틴 하이데거(M. Heidegger)에게...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