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와 장로(4)
목사와 장로(4)
김북경 총장_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목사와 장로의 평준화가 기능상의 통일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각자 받은 은
사대로 일을 하되 서로의 은사를 인정하고 귀하게 여기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는 뜻이다. 우리의 고질병은 제일주의에 있다. 한국 교회에서는 아직도 목사
가 제일가는 사람으로 본다. 중세의 신부는 모든 학문의 여...
이 시대의 아픔과 상처인 불신과 자기중심적 태도가 문...
이 시대의 아픔과 상처인
불신과 자기중심적 태도가 문제이다
박형택 목사_화평교회
요즈음 황우석 서울대 수의대 교수의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사건은 국민들에
게 당혹감을 자아내고 있다. 사실의 전모를 자세히 모르기 때문에 저마다 다
른 시각으로 이 사건을 바라보고 평가를 한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세계적으
로 명성을 얻었던 한국생명과학분야에 ...
이별이 가져오는 것_변세권 목사
이별이 가져오는 것
변세권 목사_온유한교회
간밤에 눈이 내려 앙상했던 겨울 산이 햇솜 같은 흰 눈으로 포근하게 덮였
다. 두툼한 파카에 목도리를 두르고 주변 산자락을 걸었다. 발을 내딛을 때마
다 뽀드득거리는 발자국 소리에 때묻지 않았던 어린 시절이 생각이 났다. 이
제는 많은 이별과 만남을 통해 늙었다는 생각을 했다. 어느 시인은...
주께서 우리 교단에 주신 선물 ‘소요리문답’_김용주 목...
주께서 우리 교단에 주신 선물 ‘소요리문답’
김용주 목사·소식교회
우리 교회 초창기에 소요리 문답 107문답까지를 가르쳐 본 경험이 있습니다.
그것은 1982년 초에 당시 총회 교육부에서 발행한 교재가 있어서 가능하였습
니다. 당시에 집필은 최낙재 목사님이셨고, 크리스챤서적 공사를 통하여 공급
되었습니다. 이 책은 1, 2권 통...
“약함을 통해 강해져라”_김명혁 목사
“약함을 통해 강해져라”
김명혁 목사·강변교회
“크리스천 투데이”에 실린 신년대담 내용의 일부를 여기 요약하여 실립니
다.
“지난해 한국교회의 정치, 사회 참여는 바람직했지만 너무 정치화 됐고 세력
화를 지향했다고 봅니다. 우리 신앙의 길이 선배들과 멀어진 것 같아요. 길선
주 목사, 주기철 목사, 손양원 목사, 한경직 목사 등 ...
목사와 장로(3)
김북경의 살며 생각하며
목사와 장로(3)
김북경 총장_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목사와 장로 차별은 한국교회에 지대한 부작용을 가져왔다. 목사는 성직자로
서 교회를 대표하고 담임 목사직을 누리며 당회장을 포함한 모든 부서의 장
의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당회원(장로)들은 일인정치 체제의 들러리를 서
는 격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러나 ...
“하나님 안에서 무한 상상력 발휘하자”
“하나님 안에서 무한 상상력 발휘하자”
김영규 목사
·뉴욕학술원
·남포교회 협동목사
모든 인문과학을 해체시키고 있는 생물학의 견해에 따라 거짓도 동물세계의
연장인 폭력행위처럼 뇌질환일 수 있고 유전질환일 수 있다는 과학사상 자체
가 거짓의 본질이라고 생각한다면 황우석 교수의 거짓은 이웃이나 국가에 끼
친 피해보다 자신에게 끼친 피...
얼짱 목회자의 얼굴_이재헌 목사
얼짱 목회자의 얼굴
이재헌 목사_대구동흥교회
언제부터인지 몰라도 대중에게 사랑 받는 젊은 남자 연예인들 중에 ‘꽃 미
남’이라는 단어가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다. 거기다가 ‘살인미소’라는 말
까지 추가되면 거의 그 인기는 절정에 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언뜻 생각해
도 ‘꽃’과 ‘미남’ 그리고 ‘살인’과 ‘미소’라는 말들은 함께 어울리기
...
모든 것을 가진 사람들_김수흥 목사
모든 것을 가진 사람들
김수흥 목사_합신초빙교수
2005년 12월 어느 TV 방송에 우리나라의 중산층(中産層)이 몰락하여 신 빈곤
층(新貧困層)으로 전락했다는 충격적인 내용이 방영되었다. 이 신 빈곤층은
1990년대 후반에 들어 우리나라가 IMF(국제통화기금)에 도움을 요청했던 시절
부터 새로 형성되었는데 지금 신 빈곤층으로 분류되...
은혜로만 이루어지는 목회_김용봉 목사
은혜로만 이루어지는 목회
김용봉 목사_신석교회
우리 모두가 공감하듯 개혁주의 목회는 한 마디로 성경적인 목회 방법을 연구
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다. 물론 성경이 목회 방법을 특별하게 제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말씀에 대한 많은 묵상이 필요하다. 한 예로써
사도 바울의 서신을 통해 어떤 목회방법을 실천하였는가를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