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대구영안교회 낙도선교 보고_박춘근 장로

대구영안교회 낙도선교 보고   박춘근 장로/ 경북노회 대구영안교회   대구영안교회가 8월 6일~9일 3박 4일간 전남 완도지역으로 낙도선교를 다녀 왔습니다. 완도군의 섬 지역 여섯 교회로 사랑이넘치는 교회(흑일도), 청산교회(청 산도), 보길중앙교회(보길도), 장항갈보리 교회(고금도), 동백리교회(평일도), 생령교 회(생일도)입니다...

합신 동기들에 대한 감사

  김태수 선교사/ HIS   제가 합신에 입학한 해가 1994년이었 습니다. 합신 18회로 입학했습니다. 그러고 보니 어느덧 입학한 지 31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합신에 입학해서 신학의 ‘ㅅ’도 모르는 상황에서 개혁신학을 공부하며 너무나 가슴이 벅찼습니 다. 귀한 교수님들의 가르침에 공부는 힘들고 어려웠지만 감사한 시간을 보낼수 ...

[기고] 말이 통하는 총회 회의 문화 만들기_나택권 장...

말이 통하는 총회 회의 문화 만들기   나택권 장로/ 부산노회 호산나교회   모든 교회의 전체 회의라고 하는 총회는 해마다 한 번 모인다. 그리고 회무를 마치면 파회(罷會, dissolve), 즉 회의체 자체가 없어지는 것 같이 되어 버렸으나 그 총회가 선임한 임원회는 회의를 위한 기구로 남아 수임 사항을 처리하거나 보존행위를 위해...

[기고] WEA와 성경관_김병훈 교수 합신 조직신학 석...

WEA와 성경관   김병훈 교수 합신 조직신학 석좌교수 세 계 복 음 주 의 연 맹 ( W E A , W o r l d Evangelical Alliance) 제15차 총회가 2025 년 10월 27일부터 31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다. WEA의 역사적 성립은 크게 세 가지 차원 에서 이해될 수 있다. 첫째, 신학적 차원에서 WEA는...

교단 역사의 체계적 보존이 절실하다

교단 역사의 체계적 보존이 절실하다   1981년 9월 22일, 남서울교회당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의 신앙과 신학적 전통을 계승 하면서 '바른신학, 바른교회, 바른생활'이라는 이념을 품고 시작된 합신 총회는 제1회 총회가 아닌 제66회 총회로 출발했다. 이는 단순한 새로운 교단의 창설이 아니라 한국 장로교회의 정통 신학과 역사적 전통을 온전히 ...

[시론] 시원케 하는 자들이 그립습니다!

시원케 하는 자들이 그립습니다!   전상일 목사 북서울노회 석광교회 요즘 ‘극한 호우’, ‘극한 폭염’이란 말이 자주 입에 오르내릴 정도로 어느 때보다 힘든 여름을 보내고 있습니다. 더구나 나라 안팎의 온갖 재해와 분쟁들, 정치와 경제의 불안정, 또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좀체 회복되지 않는 예배와 재정적 어려움을 힘겹게 버티는 교회 상황들이 ...

[이단을 말한다5]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1)...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1)   유영권 목사 충남노회 빛과소금의교회 이단대책위원회 위원장 경계해야 할 이단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한국교회가 가장 적극적으로 대처하여야 하는 이단 집단 중 하나가 안증회(안상홍증인회·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이하 안증회) 이다. 이미지 관리를 잘하고 있어서 한국 사회의 경계심이 ...

차별금지법과 성평등가족부, 한국교회 신앙의 자유를 위협...

차별금지법과 성평등가족부, 한국교회 신앙의 자유를 위협한다 최광희 목사 수원노회 행복한교회 한국 사회는 지금 거대한 성혁명의 파고 앞에 서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차별금지법 제정과 정부 조직 개편이라는 두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미 해외에서 차별금 지법이 제정된 이후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를 잘 알고 있습니다. 서구 여러 나라에서는 성경의...

[사설] 제110회 총회 총대에게 바란다

제110회 총회 총대에게 바란다 9월 23일부터 25일까지 제110회 총회가 개최된다. 우리 교단 헌법은 여타 장로교단과 마찬가지로 총회의 성경적 근거를 사도행전 15장에 기록된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찾는다. 당시 공의회에는 예루살렘 교회만 아니라 이방 교회 대표자도 참석했다(행 15:1-29). 이에 근거하여 우리 교단 총회는 전국적인 치리 회합의 ...

목회칼럼 말씀대로 살아보기   박종훈 목사/ 전북노회 궁산교회 ‘농촌에서 살아보기’와 ‘말씀대로 살아보기’ 점점 소멸해 가는 농어촌 지역의 지방 정부가 인구를 늘리기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하는 중인데, 그중 ‘농촌에서 살아보기’라는 사업이 있다. 귀농 귀촌에 관심 있는 도시인들을 대상으로 일정한 교육과 주거비용을 제공하며 적응과 타당성...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