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LLM 시대, 개혁주의 목회자는 어떻게 응답할 ...

LLM 시대, 개혁주의 목회자는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   김찬성 목사 경남노회 주뜻교회 존 매카시가 ‘지능을 가진 기계들을 만드는 과학과 기술’이라는 개념으로 ‘인공지능’(AI)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1955년 이래로, AI 기술은 꾸준히 발전해 왔다. 특히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 대결은 AI가 더 이상 상상 속의 존...

[시론] 문화를 향해 설교하라_고상섭 목사

문화를 향해 설교하라 고상섭 목사_ 남서울노회 그사랑교회   미국 유명 작가 데이비드 포스터 윌리스는 2005년 캐니언대학 졸업식에서 ‘이것이 물이 다’라는 제목의 연설을 했다. 윌리스는 서두에서 바다에 헤엄치는 물고기들의 대화를 소개 한다. 어린 물고기 두 마리가 나이 든 물고기를 만났을 때, 나이 든 물고기가 “얘들아, 물은 괜찮아?”...

[시론]세속정치로 인한 상처, 복음으로 치유하자_최덕수...

세속정치로 인한 상처, 복음으로 치유하자   최덕수 목사(경기북노회 현산교회)   그동안 우리나라는 불안정한 정치 상황으로 몸살을 앓았다. 계엄 사태와 조기 대선 과정에서 개인과 정당 간 비난하고 맞고소하는 일로 정치판은 치고받는 싸움판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비정상적인 정치 상황으로 교회도 어려움을 겪었다.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시론] 분열의 시대에 나누는세 가지 정치적 제안_이정...

분열의 시대에 나누는세 가지 정치적 제안   이정우 목사_경기북노회 은혜의숲교회 비상계엄령과 탄핵정국, 그리고 대통령 선거, 그야말로 이 땅은 몸살이다. 보수의 이념과 진보의 프레임에 가뜩이나 작은 몸이 반쪽 날 지경이다. 이 싸움에 등 터지는 몸이또 있으니, 교회가 아닌가 싶다. 특정 이념에 경도된 어떤 목사들은 세상으로 교회를 판단하고 정...

어른을 찾는 시대, 어른이 되는 길

어른을 찾는 시대, 어른이 되는 길   가정호 목사_부산노회 세대로교회   요즈음 교육 현장에서 ‘어른’또는 ‘선생’이라는 말보다는 ‘멘토’(Mentor)라는 말을 사용하는 빈도가 더 높은 것 같다. 이전에는 선생님 또는 어른이라는 표현이 일반적이었다. “그분은 드문 어른이시다”라는 표현은 젊은 세대들이 본받고 따를 만한 통전적 경...

계절의 여왕 5월에 가정을 생각한다_김학인 목사

계절의 여왕 5월에 가정을 생각한다   김학인 목사_본보 편집국장 “사철에 봄바람 불어 잇고 하나님 아버지 모셨으니 믿음의 반석도 든든하다 우리 집 즐거운 동산이라” (찬송가 559장 1절) 2016년 11월 전북교육청이 주최한 '너도나도 공모전'에서 동시 부문 최우수상을 받은 시가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이듬해 어버이날 전북교 육감이 ...

비교할 수 없는 하나님의 나라와 부활_정요석 목사

비교할 수 없는 하나님의 나라와 부활   정요석 목사_남서울노회 세움교회, 개신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겸임교수   국회의원을 세 번 지낸 A 전(前) 의원이 며칠전 숨진 채 발견되었다. 그는 몇 년 전 자신의 비서인 B씨를 상대로 성폭력을 행사한 혐의로 피소돼 경찰 조사를 받아왔다. 그는 왜 극단적 선택을 했을까? 그의 행위가 큰 원...

네 자신과 가르침을 살피라_도지원 목사

네 자신과 가르침을 살피라 도지원 목사 서서울노회 예수비전교회 사도 바울은 에베소 교회의 젊은 목회자 디모데에게 이렇게 말했다. “네가 네 자신과 가르침을 살펴 이 일을 계속하라 이것을 행함으로 네 자신과 네게 듣는 자를 구원하리라”(딤전 4:16). 여기에는 우리가 생각해야 할 두 가지 요점이 들어 있다. 하나는 목회자가 해야 할 일에 대한 ...

“빛나는 인생”_김학인 목사

“빛나는 인생” 김학인 목사/ 본보 편집국장 “나는 내가 빛나는 별인 줄 알았어요. 한 번도 의심한 적 없었죠. 몰랐어요, 난 내가 벌레라는 것을. 그래도 괜찮아, 난 눈부시니까.” 황가람 노래 ‘나는 반딧불’의 가사 일부분이다. 자신에게 지나친 기대를 가지고 살아가다 지치고 무력감을 느껴 성공의 기준을 다시 생각하고 새로운 삶을 다짐하는 내용이...

다문화 이주민에 대한 교회의 역할_나택권 장로

다문화 이주민에 대한 교회의 역할 나택권 장로/ 부산노회, 호산나교회 지금 한국 사회는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외국인 노동자의 취업이 확대되고 있다. 앞으로 유입될 노동 인력의 규모는 더 확대될 전망이고, 또한 국제결혼이 늘어나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 여성들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법무부 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내 체류 외국인 주민의 수는 202...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