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동적 칭의와 수동적 칭의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_노승...
능동적 칭의와 수동적 칭의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노승수 목사, 강남성도교회 > “개혁파 신학자들이 칭의와 성화를 나눈 것은 세미펠라기안 때문” 개혁파 신학자들은 칭의를 이해할 때, 하나의 칭의를 능동적 칭의와 수동적 칭의라는 두 국면으로 이해했다. 원래 칭의는 법정적이며 객관적이며 즉각적 성격을, 성화...
|총회교직자 수양회 특집 | 우리의 위로_김병훈 교수
우리의 위로 딤후 4:6-8< 김병훈 목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 사도 바울은 자신의 사역을 돌아보며 디모데에게 설교 사역을 간절히 부탁하고 권면하고 명령을 합니다.앞서 1절에서 바울은 설교 사역을 지상 최대의 지엄한 기준으로 디모데에게 명하였습니다: “1 하나님 앞과 살아 있는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실 그리스도 예수 앞에서...
|총회교직자 수양회 특집 | 바른 신학과 경건_김병훈 ...
바른 신학과 경건 엡 4:17-24< 김병훈 목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 총회교직자 수양회 주 강사인 김병훈 목사의 셋째 날과 넷째 날 강의를 특집으로 마련했다. 독자들에게 많은 유익이 있기를 기대한다. <편집자 주> 경건은 신앙생활의 본질에서 비롯되는 열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건생활을 예배출...
|총회교직자 수양회 특집 | 바른 신학과 목회_김병훈 ...
바른 신학과 목회 엡 4:1-16< 김병훈 목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 하나님께서는 사도 바울을 통해 “부르심을 받은 일에 합당하게 행하라”고 명령하십니다. 여기서 부르심이란 첫째는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부르심입니다. 그러면서도 또한 목사로 세움을 받은 우리들은 목사로서의 부르심과 관련해 적용의 교훈을 받습니다. ‘성도의 부르심...
|총회교직자 수양회 특집 | 바른 신학과 설교_김병훈 ...
바른 신학과 설교 딤후 3:10-4:5< 김병훈 목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 본문의 말씀을 통해 상기하고자 하는 교훈은 설교자란 어떠한 자이며 설교는 어떠해야 하는가에 관한 것입니다. 명령의 무게: 하나님 앞과 그리스도 예수 앞에 설 것을 기억하라 먼저 설교자란 명령을 받은 자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너는 ...
기독교 구원과 이슬람교 구원의 차이_손재익 목사
기독교 구원과 이슬람교 구원의 차이 < 손재익 목사, 한길교회 > 기독교의 하나님과 이슬람의 하나님은 다르지 않다고 하는 주장을 하는 이들이 있다. 과연 그런가? 이 점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일이다.이슬람도 하나님을 믿는다?이슬람은 하나님을 믿는다. ‘하나님’이라는 칭호를 ‘알라’(Alla)로 표현하지만, 그것은 엘로힘이나 Go...
|목회자 자녀 캠프를 마치고| 아이들에게서 배운 것이 ...
아이들에게서 배운 것이 더 많았습니다 < 김덕선 목사, 총회교육부장 >지난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충남 서천에서 제14회 목회자 자녀(PK)캠프를 은혜 가운데 마쳤습니다. 우리 아이들을 생각하면서 캠프에서 만날 또 다른 나의 아이들과의 만남에 대한 기대를 안고 기도로 준비하였습니다.첫 날, 청년스텝(OK) 두 명을 태우고 가다가 휴게소에서 ...
교리 교육의 목적과 그 유용성_손재익 목사
교리 교육의 목적과 그 유용성< 손재익 목사, 한길교회 > 시작하는 말 오늘날 우리가 속한 교회의 현실 중 하나는 ‘역사적으로 이어져 오던 교회’와 단절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안타까운 상황 속에 우리가 있습니다. 사실 교회라는 것, 그리고 신앙이라고 하는 것은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하고 떨어져 온 ...
‘안식 후 첫날’로서 ‘주일’에 담긴 의미_노승수 목사...
‘안식 후 첫날’로서 ‘주일’에 담긴 의미< 노승수 목사, 강남성도교회 > “주일은 구약적 안식의 성취이며 영원한 안식을 보증하는 증표” 매주 첫째 날에 우리 신자들은 교회로 모여 공적으로 하나님을 예배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날을 보통 ‘주님의 날’을 의미하는 ‘주일’이라고 부른다. 그 대표적인 용어가 ‘주일 성...
신자에게 있어서 ‘계시록(啓示錄)’의 가치_장대선 목사...
신자에게 있어서 ‘계시록(啓示錄)’의 가치< 장대선 목사, 가마산교회 > 한국의 기독교에 있어서 오순절운동(Pentecostalism)의 영향은 거의 모든 교단이나 교파를 막론하고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그렇게 된 것은 이미 한국에 기독교가 들어올 당시부터 교파적 특색이 점차 신앙의 경험에 치우치는 방향으로의 대대적인 왜곡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