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사의 은퇴와 삶 4] 해외 선교사의 은퇴와 이후의...

해외 선교사의 은퇴와 이후의 삶 정수영/오현 선교사(HIS 은퇴 선교사, 홍콩, 중국 소수 민족)   샬롬, 우리 구주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문안드립니다. 저는 합신 선교사로 1998년에 허입된 정수영 선교사입니다. 48세에 허입되어 2020년 만 70세까지 선교사로서 현역 사역을 하였으며 지금은 한국에서 복음을 전하는 노방 전도자로 살아가고 있습...

[선교사의 은퇴와 삶 3] 해외 선교사 은퇴와 이후의 ...

해외 선교사 은퇴와 이후의 삶 장창수/임월조 선교사(HIS 은퇴 선교사, 러시아, 이스라엘)   장창수 임월조 선교사는 1994년부터 2009년까지 서시베리아 수도인 노보시비르스크에서 15년간, 2010년부터 2018년까지 흑해에 위치한 아나빠에서 9년간 그리고 2019년부터 2024년까지 6년간은 이스라엘에서 사역하였다. 30년이란 오랜 ...

[선교사의 은퇴와 삶 2] 선교사의 은퇴와 부탁의 말_...

선교사의 은퇴와 부탁의 말 안성원/조은숙 선교사(HIS 은퇴선교사, GP선교회)   한국교회가 해외 선교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1980년대부터입니다. 이제 40년이 지나 초창기에 파송된 선교사들이 은퇴하기 시작했습니다. 통계에 의하면 현재 60대 이상 선교사가 4,000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합신 교단 출신도 상당히 많을 것입니다. 2년 전 본인...

[선교사의 은퇴와 삶 1] 선교사 은퇴를 앞두고_최재명...

선교사 은퇴를 앞두고 최재명/방경순 선교사(HIS, 아프리카 탄자니아)   최재명 방경순 선교사는 1994년부터 현재까지 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 사역해 오고 있습니다. 최 선교사는 올해로 만 70세가 되어 이제 곧 선교사 정년 은퇴를 맞이하게 됩니다. 그동안 탄자니아에서는 20개의 현지 교회를 개척하였고, 성경신학교 사역과 20여 명의 현지 목...

[기고문] 사람에게 자기결정권이 있는가?_정요석 목사

사람에게 자기결정권이 있는가? 정요석 목사(남서울노회 세움교회, 개신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겸임교수)   1. 이성을 통한 분별력의 가치와 한계 해와 비를 악인과 선인에게 똑같이 내려주시는 하나님은 이방인에게도 일반 상식(common sense)이라고 불리는 인식을 내려주셔서 사람은 만물의 영장으로 모든 것을 다스릴 수 있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신자나...

[기고문] 한국 이단 동향과 대응 전략_유영권 목사

한국 이단 동향과 대응 전략 유영권 목사(총회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 위원장)   한국교회가 이단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연구 및 조사하여 규정을 시작한 것이 1915년 ‘안식교’에 관한 규정이었다. 그로부터 109년이 지난 현재 한국에 있는 이단으로 규정된 집단 수가 대략 130여 곳이며(교단에 의해 규정된 숫자), 교단에서 공식적으로 규정되지 않은 집단까...

[기고문] 영적 싱크홀 이슬람_김봉환 선교사

영적 싱크홀 이슬람 김봉환 선교사(총회 이슬람문제연구위원회 위원장)   가끔 도로 위에 싱크홀이 생겨 달리던 차량이 빠져 사고를 당했다는 뉴스를 보게 된다. 그럴 때마다 늘 동일한 설명은 도로 지반의 침하가 발생해서 그렇다고 한다. 그러므로 땅속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살피지 않으면 갑자기 대형사고를 당하게 되는 것이다. 이슬람권 선교를 위해 조국을 ...

[제36회 정암신학강좌 강의3] 어록으로 본 정암 박윤...

어록으로 본 정암 박윤선의 기도론과 실천 정창균 교수(합신 명예교수)   기도라는 관점에서 정암 박윤선을 접근할 때 우리가 얻는 결론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그 자신이 ‘죽기 내기’로 기도를 힘쓴 기도의 사람이라는 사실이다. 둘째, 그는 열정적으로 기도를 촉구하며 기도를 가르친 사람이라는 사실이다. 1. 정암 박윤선, 기도의 사람 정암 박...

[제36회 정암신학강좌 강의2] 정암 박윤선의 변증: ...

정암 박윤선의 변증: 칼 바르트 비판 중심으로 박바울 교수(합신 조직신학)   박윤선 박사는 한국교회 역사에서 거인 중 한 사람이다. 우리는 이 거인의 어깨 위에 서 있다. 존경은 당연히 주어져야 한다. 그러나 박윤선 박사 스스로는 신앙의 길을 우리보다 먼저 걸어간 선배 그 이상으로 간주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도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

[제36회 정암신학강좌 강의1] 성경의 무오성에 대한 ...

성경의 무오성에 대한 정암의 이해와 ‘개혁파 변증’에 대한 정암의 가르침 이승구 교수(합신 남송 석좌교수)   성경의 무오성에 대한 강조는 정통파 개혁신학과 복음주의 신학의 토대다. 정암(1905-1988)은 정통파 개혁신학을 한국 땅에 뿌리 내리게 한 장본인의 한 사람으로서 그의 평생에 걸쳐서 성경의 무오성을 매우 강조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일을 하...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