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리와 청교도 서적의 중요성

기독교 교리와 청교도 서적의 중요성   최근 교리와 청교도 서적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여파인지 몰라도 ‘교리는 무용한 것인가?’ 또는 ‘신앙 서적, 특히 청교도 서적은 그 당시에만 통용 가능하고 오늘날에는 도움이 안 되는 고루한 것이기만 한가?’ 하는 질문도 높아지고 있다. 잘 아다시피 성경 말씀, 즉 진리는 변하지 않는다...

거짓된 체험신앙, 이제는 버려야 할 때

거짓된 체험신앙, 이제는 버려야 할 때   우리 신자들 중에는 소위 체험신앙 또는 신비적 체험신앙을 갈망하는 이들이 더러 있는 모양이다. 사실 종교는 세인들에게 신비적 체험을 제공하는 통로가 되기도 하지만 과연 기독교 신앙을 그와 같은 저속한 세속적 체험으로 대신할 수 있는지 돌아보아야 할 일이다. 기독교 신자들 중에는 소위 ‘예언...

언약은 그 자체가 은혜다

언약은 그 자체가 은혜다     우리는 종종 언약을 말할 때 하나님과 인간의 쌍방적 요소를 들어 수평대등한 구조로 착각할 때가 많다. 하지만 언약이 언약 당사자간의 쌍방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언약은 근원적으로 은혜의 성격을 띤다.   타락 전 하나님께서 아담과 맺으셨던 행위언약도 역시 마찬가지다. 행위언약이든 그 이후 인간의 범죄로 맺으...

죽음의 고난과 부활의 영광

죽음의 고난과 부활의 영광     바울은 그리스도를 역사적인 사실로 아는 것만으로 만족하지 않고 그의 삶 속에 항상 살아 있는 부활한 주로서 알고 싶어 했다. 그리고 바울이 알고자 하는 ‘능력’은 그리스도와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부활한 그리스도가 부여받은 능력이었다. 곧 바울은 그의 부활로 말미암아 발휘되는 능력을 체험함으로써 그리스도를 알고자...

십자가 없는 하나님나라 운동을 배격한다

십자가 없는 하나님나라 운동을 배격한다   우리는 종종 불신자들에게 남겨진 ‘일반은총’ 혹은 타락한 이후에도 여전히 하나님께서 죄인들에게 남겨두신 ‘잔여물’ 때문에 마치 저들 안에 선한 것들이 있으며 그것들이 참된 가치가 있는 것처럼 여기곤 한다.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불신자 안에 있는 선한 그것들이 마치 하나님 나라의 가치라고까지 생각하기도 한다. 그...

기독교 교리와 청교도 서적의 중요성

기독교 교리와 청교도 서적의 중요성   최근 교리와 청교도 서적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여파인지 몰라도 ‘교리는 무용한 것인가?’ 또는 ‘신앙 서적, 특히 청교도 서적은 그 당시에만 통용 가능하고 오늘날에는 도움이 안 되는 고루한 것이기만 한가?’ 하는 질문도 높아지고 있다. 잘 아다시피 성경 말씀, 즉 진리는 변하지 않는다. 진리는 모든 ...

거짓된 체험신앙, 이제는 버려야 할 때

거짓된 체험신앙, 이제는 버려야 할 때   우리 신자들 중에는 소위 체험신앙 또는 신비적 체험신앙을 갈망하는 이들이 더러 있는 모양이다. 사실 종교는 세인들에게 신비적 체험을 제공하는 통로가 되기도 하지만 과연 기독교 신앙을 그와 같은 저속한 세속적 체험으로 대신할 수 있는지 돌아보아야 할 일이다.   기독교 신자들 중에는 소위 ‘예언기도’에 목이 ...

우리 안에 있는 근본주의를 경계한다

우리 안에 있는 근본주의를 경계한다   교회사에 있어서 근본주의는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의 범람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역사적 기독교 신앙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기독교 신앙을 수호하기 위한 복음주의 진영의 다양한 신학적 그룹의 교리적 연대를 가리킨다.   이들 근본주의 연대는 당면한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방어 태세를 갖추기 위해서 신학적 불일치에도 불...

회심하지 않는 교인들을 경계한다

회심하지 않는 교인들을 경계한다   교회에 나오는 사람들 중에는 회심하지 않고 단지 그들의 영적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찾아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또 대부분의 경우, 본인이 스스로 회심했다고 착각하기도 한다.   분명 그들은 교회를 다니며, 영접기도를 했다고 해도 그들이 다 거듭난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실상 그리스도인이 아니면서 스스로 그리스도...

신자들이 믿는 믿음

신자들이 믿는 믿음   성경에서 말하는 우리의 구원과 하나님의 영광은 거의 같은 말이다. 곧 우리의 구원은 우리 편에서 하는 말이며 이를 하나님 편에서 하는 말이 곧 하나님의 영광인 것이다.   사실 성경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이 두 가지로 집약되기도 한다. 등식으로 표현하자면, 우리의 구원은 곧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말이 된다. 결국 영광이라는 것이 ...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