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개혁신보

20199 게시물 0 코멘트
기독교개혁신보사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의 기관지로서 바른신학, 바른교회, 바른생활이란 3대 개혁이념을 추구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본사는 한국 교회의 개혁을 주도하는 신문이 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신학 교육과 교단의 정체성_송영찬 국장

신학 교육과 교단의 정체성 송영찬 국장 daniel@rpress.or.kr 어느 교단이든 그 교단의 정체성은 교단 회원인 목회자들의 신학 사상과 관련 된다. 목회자의 신학 사상을 바탕으로 교회의 정체성이 세워지고 그 위에 노 회와 총회의 정체성이 확립되기 때문이다. 동시에 목회자의 신학 사상은 교단 의 정체성에 의해 검증되어야 한다....

부패한 시대정신과 기독교

부패한 시대정신과 기독교 김재성 교수/합신 요즈음 세간에서는 연일 정치인들의 부패에 연루된 악취가 진동하고 있다.  한국 권력기관의 상징인 행정부와 입법부는 불로소득의 온상처럼 되어있어서  이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대책을 세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거대한 권력을 놓 고서 쟁투하는 세속의 정치판이 언제라고 깨끗한 적이 있었던가를 생각할 때...

웰빙족_이은상 목사

웰빙족 이은상 목사/동락교회 현대의 바쁜 일상과 인스턴트 식품에서 벗어나 '잘 먹고 건강하게 살자'는 라 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신조어 웰빙족은(Wellbeing 族) 건 강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한 새로운 인류일까요 아니면 상업주의가 가공해  낸 정체 불명의 변종일까요? 그 날이 가까울수록(히10:25) 인류의...

국화를 심으며… _박종훈 목사

국화를 심으며...  박종훈 목사/궁산교회 한동안 매일 눈이 오더니만 어느새 봄의 기운을 물씬 풍기며 사람들이 바쁘 게 움직인다. 정원에는 수선화와 상사화의 잎이 하루가 다르게 올라오고 있 고 매실나무는 꽃봉오리를 맺히고 있다.  작년에 마당가에 심었던 노란 국화가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몇 배로 넓은 자 리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

제2회 목회자 자녀 캠프를 마치고_김은혜, 이샘물

제2회 목회자 자녀 캠프를 마치고 김은혜(고3)- 대전 둔산 사랑의교회  이곳에 정말 와 보고 싶었습니다. 나와 같은 처지의 P.K(목회자 자녀)들이 어 떤 생활을 하며, 각자 교회에서 어떤 일들이 있으며 무슨 생각을 하며 살아가 는지… 과연 나만 힘든 것일까? 아님 다른 친구들도 마찬가지일까? 오기 일주일 전부터 가슴이 설레었습니 다. ...

|조주석의북카페| 신약에 나타난 부활

신약에 나타난 부활 머레이 J. 해리스 지음/ClC/서인선 옮김/신국판/351면/1995.8발행 서평-조주석/합신편집실장 학교 뒷산은 1,2월의 풍경으로 말하면 그윽하다. 그 색깔의 맛이 아주 깊다 고 할까! 안개가 자욱한 날이면 그 맛은 더욱 깊게 배어난다. 이런 즐거움 때 문에 그와 같은 다른 산들에도 매료된다. 하지만...

벌써 당신곁에 와 있잖아요~  

벌써 당신곁에 와 있잖아요~ <조혜진> 

참된 개혁자의 삶_오광석 목사

참된 개혁자의 삶 오광석 목사/ 한별교회 오늘날 교회 안팎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말이 있다면 그것은 '개혁'이란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개혁이 된 곳을 찾아보기는 매우 어렵 습니다. 그 이유는 진정한 개혁자를 이 세상에서 찾아 볼 수 없기 때문입니 다. 그래서 이 시대는 개혁이란 말은 있지만 진정한 개혁자는 없는 세상에...

상식 통하는 목회자 되길 _박형용 총장

합신 졸업식 훈사 상식 통하는 목회자 되길 박형용 총장/합신 먼저 졸업을 축하합니다. 졸업을 영어로 코멘스먼트(commencement)라고 합 니다. 그 뜻은 "시작" 혹은 "개시"를 뜻합니다. 그래서 졸업은 삶의 한 단계 를 접고 다른 단계로의 시작을 암시합니다. 여러분 모두는 이제 졸업을 통해  학생의 신분에서 교회의 지도자의 ...

가정 파괴,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다_송영찬 국장

가정 파괴,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다 송영찬 국장 daniel@rpress.or.kr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이혼율로 파괴되는 가정이 늘고 있다. 가정 파괴는  곧 사회 질서 혼란을 유발하고 사회 질서 부재는 또 다른 가정 파괴의 원인으 로 작용하는 악순환의 원인이다. 과연 가정 파괴라는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끊 을 수는 없을까?...

핫클릭

교단

교계

좌담 인터뷰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