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상처_성주진 교수

0
8

사랑의 상처 

성주진 교수/ 합신 구약신학

얼마 전 남측 이산가족이 북측가족을 만나기 직전에 남긴 말 한 마디를 인상
깊게 들었습니다. ‘만나면 상처부터 확인해야지요.’ 과연 그 분이 상처를 확
인했는지 그 후일담은 듣지 못했습니다만, 어떤 상처는 이처럼 한 사람의 정
체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확인해주는 표지가 됩니다. 그 상처를 아는 모자
는 ‘아들아!’, ‘어머니!’를 목놓아 부를 수 있습니다.

‘상처부터 확인해야지.’ 이 말은 도마가 부활하신 주님과 가진 대화를 떠오
르게 합니다. 도마에게 주님의 상처는 그분의 정체를 확인하는 표지였습니
다. 도마는 주님의 정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그 상처가 의미하는 바 주님의 
사랑과 주님 되심에 감격하여 외칩니다. ‘나의 주님, 나의 하나님!’ 이 때 도
마가 느꼈던 감동은 지금 성경을 읽는 우리에게도 그대로 전달되어 옵니다. 
우리는 과거에 믿음의 형제자매나 동역자들에게 상처를 입은 쓰라린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열심히 봉사하다가 
가까운 사람들에게 상처를 받게 되면 우
리는 그만 주저앉기 쉽습니다. 한 번 상처를 받은 후에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
하면서 방관자적인 태도를 유지하기 일수입니다. 상처는 아픈 법이기에 다시
는 같은 고통을 당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누가 탓할 수 있겠습니까? 인지상정
인 것을요. 

그러나 주님의 상처는 우리에게 아픈 질문을 던집니다. ‘너희가 상처를 아느
냐?’ 주님은 어떤 상처는 사랑의 증거라고 말씀하십니다. 불완전한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는 과정에서 피차 상처를 주고받는 것은 불가피한 일인 줄 압니
다. 그렇기에 때문에 사랑하려는 사람은 그 과정에서 고통을 받고 상처를 입
는 것을 각오해야 됩니다. 죄 없으신 주님도 고통과 상처가 없이는 우리를 사
랑할 수가 없었는데, 하물며 죄 많은 우리야 오죽하겠습니까? 고통과 상처가 
없는 사랑은 인간의 실제상황을 도외시한 환상일 것입니다. 

사랑의 아픔은 일종의 성장통이 아닐까요. 아이들이 한참 아픈 다음에는 키
가 훌쩍 크고 성숙해지는 것을 발견합니다. 성장할 때 고통이 수반되듯 사랑
의 성숙에도 많은 아픔이 필요한 줄 압니다. 아무런 고통 없이 편하게
만 살아
가는 것은 우리를 신앙적으로 나약하게 만들고 깊은 관계에 들어가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입니다. 고통을 두려워하고 상처를 겁내다가는 믿음과 사랑
의 진보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일을 해내지 못할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형제에게 입은 상처는 사랑의 증거일 수 있습니다. 주님이 우
리를 사랑하셨기에 상처를 입었던 것처럼 말입니다. 아무런 고통이나 상처가 
없는 몸으로 주님 앞에 서있는 우리의 모습을 한 번 상상해 봅니다. 우리는 
어깨를 펴며 자랑스럽게 말합니다. ‘주님, 내 몸과 마음에는 상처가 하나도 
없습니다.’ 이 말을 들은 주님은 과연 기뻐하실까요? ‘네가 사랑하지 않았구
나’ 라고 슬퍼하실지도 모릅니다. 

반면 상처투성이의 몸을 가까스로 추스리며 주님 앞에 서 있는 우리의 모습
을 생각해 봅니다. 우리는 자신 없는 태도로 어렵게 말을 꺼냅니다. ‘주님, 
사랑한다고 하면서도 이 정도 아픔을 견디지 못했습니다.’ 주님이 뭐라고 말
씀하실까요? 아마도 ‘이 상처는 사랑의 상처구나!’ 기뻐하실 것입니다. 주님
은 우리가 연약함의 증거로 알고 수치스럽게 
생각하는 상처들을 오히려 영광
의 상처로 인정해 주실 것입니다. 사도 바울이 가진 ‘그리스도의 흔적’도 이
런 상처가 아닐까요. 

우리가 추구하는 삶의 목적이 그저 아무런 고통 없이 편하게만 지내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마음을 본받고 그의 발자취를 따르는 것이라면, 아픔과 상처
를 각오하는 것이 마땅한 줄 압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아무 상처 없이 사
는 삶이 아니라, 혹 상처를 입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사랑을 계속하기로 결단
한 삶이기 때문입니다.

주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하지 않는다면 받지 않아도 될 고통을 받는 경
우가 있습니다. 또한 형제를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하지 않는다면 입지 않아
도 될 상처를 입고 아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억울한 일이 실상은 그
토록 행복한 일입니다. 이 아픔과 상처는 주님이 우리 마음에 심어두신 사랑
의 부인할 수 없는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주님은 상처 난 두 손을 들어 
우리의 자랑스러운, 그러나 아픈 상처를 따뜻하게 어루만져 주실 것입니다. 

이전 기사그리스도의 높아지심이 어떠한가?
다음 기사커갈수록
기독교개혁신보
기독교개혁신보사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의 기관지로서 바른신학, 바른교회, 바른생활이란 3대 개혁이념을 추구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본사는 한국 교회의 개혁을 주도하는 신문이 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