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찬송가’ 문제 있다

0
15

21세기 찬송가’ 문제 있다

송영찬 국장daniel@rpress.or.kr

예배 찬송은 예배의 특성과 형식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
다. 예배가 교회 생활의 중심이며 그 형식은 신앙고백의 결과여야 하는 것처
럼 찬송 역시 유일하신 여호와의 이름에 합당한 영광을 드러내야 한다. 어떤 
노래가 기독교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모두 예배 찬송이 되지 
않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이처럼 찬송은 하나님께 드려지는 것이어야 
하며 복음 성가와 같이 성도의 삶에 위로와 힘을 주는 노래들과도 구별되어
야 한다(개혁신보 292호 특집).

최근 논란을 거듭하고 있는 ’21세기 찬송가’에 대한 평가 기준도 여기에서 벗
어나선 안될 것이다. 찬송가공회에서는 21세기에 걸 맞는 한국형 찬송가를 만
들겠다는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지난 5년 간 수 억 원의 예산을 들여 ’21세
기 찬송가’ 시제품을 발행하고 지난달까지 공청회를 모두 마친 상태이다. 그 
결과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많이 지
적되었고 각 교단마다 ’21세기 찬송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해 새 찬송가 발간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높
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예장 통합 찬송가위원회(위원장 설삼용 목사)는 ’21세기 찬송가’에는 찬불가 
작곡자의 곡이 7곡이나 수록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생존 인사의 곡들은 
작가의 신앙과 도덕성의 검증을 마친 후에 수록할 것을 요청하고 나섰다. 한
기총, 예장 합동, 예장 고신 등의 교단들도 각 교단과의 충분한 사전 협의 없
이 일방적으로 찬송가의 발행을 추진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다. 기하
성(총회장 이재찬 목사) 역시 ’21세기 찬송가’의 발행에 각 교단의 이권이 개
입돼 있어 새 찬송가 발간이 상업성으로 흐를 우려가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
다.

또한 ’21세기 찬송가’ 감수를 의뢰 받은 교회음악 전문가 박재훈 목사(전 한
양대 교수)와 김이호 목사(찬송가 수집가)는 감수 보고서를 통해 수준 미달
의 유치한 작품, 외국곡의 가사 잘못 번역, 가사와 곡조의 부조화 등의 문제
점을 지적하고 이대로 발간될 경우 국제적 망신만 당할 것이라고 반대 의사
를 분명히 밝혔다
.

이에 찬송가공회는 7인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제기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
을 수립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지만 적절한 대책을 마련될지는 미지수이
다. 뿐만 아니라 찬송가공회는 각 교단의 입김과 이권의 개입으로 말미암아 
모든 교단이 환영할 만한 찬송가를 발행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
고 있기 때문에 지금의 한국교회 상황에서 명실상부한 찬송가를 가지기란 쉽
지 않은 전망이다.

그러나 이상의 문제점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현재 한국교회가 사용하고 있는 
찬송가조차도 과연 예배 찬송으로 적합한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찬송가를 편찬한다는 것이 과연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
지 확실하지 않다는 점이다. 

앞서 밝혔듯이 예배 찬송은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는 신앙고
백이라는 신학적 입장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특히 예배 찬송의 중요성을 강조
하는 개혁주의 신학을 고백하는 장로교회에서 초교파적으로, 그것도 NCC가 주
도권을 가지고 있는 찬송가공회에서 발행하는 찬송가를 아직도 사용해야 할지
는 매우 민감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현재 사용하고 있
는 찬송가조차도 신학
적 검증 절차를 논외로 한 잠정적인 합의에 따라 발행되었다는 점 역시 간과
해선 안될 것이다.

우리는 개혁주의 신학에 입각한 자세를 가지고 정당한 예배 찬송을 하나님께 
드려야 할 의무가 있다. 이것은 하나님께 드릴 합당한 예배자의 자세이며 그 
어떤 것으로도 대신하거나 양보할 수 없는 문제이다. 신앙고백을 달리하고 신
학이 서로 다른 교단들이 어떻게 하나의 찬송가를 사용하겠다고 고집할 수 있
는지는 그동안 수없이 지적되었던 문제였다. 이 점에서 우리 교단 역시 결코 
자유롭지 않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예배 찬송을 
마음 편하게 드리는 날이 하루라도 빨리 오게 하기 위해 우리 교단만이라도 
개혁주의 신앙 고백에 합당한 찬송가 발행에 모든 힘을 다해주기를 바란다.

언론사들의 무속, 역술 광고 게재를 반대한다

현금에 와서 ‘오늘의 운세’ 등으로 시작된 내용이나 광고가 그 정도를 심하
게 넘고 있어 언론사의 각성을 요구하지 않을 수 없다. 국민들에게 곧은 정신
과 의지를 심어주고 민족의 장래를 개척하기 위한 용기를 독려해야 할 언론사

들이 앞다투어 역술인들을 특집으로 다루거나 그들의 사행성 광고를 여과 없
이 게재하는 것은 사회적 공기로서의 사명 의식을 상실한 작태라고 하지 않
을 수 없다.

우리나라의 민주화 운동에 누구보다 앞장섰으며 민족의 긍지를 높이기 위해 
모든 탄압도 이겨냈다고 주장하는 언론사들이 경영난을 이유로 또는 인기에 
영합할 목적으로 무속이나 역술인 광고를 지면 가득히 채우고 있다는 것은 참
으로 한심하기 그지없다. 아무리 광고라고 하지만 광고 역시 경영과 편집에
서 핵심의 자리에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결코 사리사욕만을 앞세울 수 없
는 것이 공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언론사의 자세여야 한다. 때문에 광고라 할
지라도 그것이 국민의 정서와 건전한 사고에 위배되지 않아야 한다는 기본적
인 윤리 의식을 표명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속이나 역술을 선전하는 광고는 광고의 정보성이나 윤리성 또는 상
업성의 성격을 떠나 민중을 현혹하고 망상에 빠져들게 한다는 점 때문에 그 
폐해는 이루 말로 할 수 없다. 국민의 정서를 저급하게 만들거나 사행심을 조
장하는 퇴행성 광고가 결코 국민의 공익을 위하지 않는다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언론사들이 겉으로는 국민의 대변지이며 국가의 미래를 지극히 
염려한다고 주장하면서 속으로는 장삿속의 속내를 감추고 있다는 것은 언론사
로서 결코 정당한 태도라 할 수 없다.

우리는 언론사들의 행보를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이며 계속해서 이 문제가 개선
되지 않을 경우 언론사들을 상대로 불매운동을 벌이지 않을 수 없다. 더 이
상 국론의 분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언론사들의 각성과 성의 있는 조치를 촉구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