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수 교수_합신 신약신학
새옹지마는 있다. 나쁜 일이 일어났다고 해서 그다지 슬퍼할 것이 아닌 이유
는 그 나쁜 일로 말미암아 도리어 좋은 일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
만 우리는 새옹지마의 법칙을 너무 크게 신뢰해서는 안 된다. 인생은 늘 그렇
게 법칙대로 되지 않는다. 불행한 일은 더 이상 좋은 일로 연결되지 않고 그
냥 그것으로 끝나버릴 수도 있다.
법칙대로 되지 않는 인생
진정한 그리스도인은 악한 처지를 그 자체로 받아들일 수 있는 자세를 가져
야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진정한 그리스도인은 그런 나쁜 형편에서도 하
나님에 대한 믿음을 표현하면서 산다. 왜냐하면 평안뿐 아니라 환난도 하나님
에게서 나온다는 것을 믿기 때문이다. 믿음 안에서는 환난도 평안과 마찬가지
로 받아들일 만한 것으로 평가된다. 매우 역설적인 말이지만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불행도 그 자체로 좋은 것이다.
어떤 이유에서든지 간에 한 여성이 남편
을 여읜다는 것은 인생살이에서 가장
힘든 상황에 놓인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바로 생계에 치명적인 어려움을 초
래하기 때문이다. 오래 전부터 그러했지만 사도 바울이 살았던 시대에도 여성
들에게는 사회활동이 그다지 넓게 허용되지 않았다. 평범한 여성들이 생계를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고작해야 허드렛일뿐이었다.
이런 시대에 남편을 여읜 여성의 인생은 눈앞이 캄캄해질 정도로 매우 막막
한 것이었음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게다가 혼자의 몸이 아니라 여
러 명의 자녀들까지 딸려 있다면 (4절을 참조할 때 이런 가능성은 매우 높
다) 미망인 된 여성이 헤쳐 나아가야 할 길이 얼마나 버겁고 험난할지 불 보
듯이 뻔하다.
사도 바울은 이런 여성을 가리켜 “참 과부”라고 불렀다. 이 말이 의미하는
바는 다양하겠으나 무엇보다도 일찍 남편을 여읜 상태에서 형언할 수 없이 숱
한 역경을 통과하면서도 꿋꿋이 견뎌낸 여성을 지시하는 말이라고 볼 수 있
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여성에게도 심각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 여성이 일생동안 싸워야 할 가장 무서운 대상은 외로움이란 적이다. 특히
남편 없이 혼
자서 힘들여 기른 자녀들이 이런 저런 이유로 곁을 떠나가고 홀
로 남게 되었을 때 매 순간 엄습해오는 외로움은 다른 무엇보다도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 사도 바울도 참 과부의 상태를 오직 한 마디 “외로
운 자”라는 말로 설명했던 것이다.
그러나 사도 바울은 한 여성이 남편과 사별한 것, 게다가 이제는 외롭게 살
게 된 것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그것은 누가 보기에도
추천한 말한 인생은 아니다. 정상적인 여성이라면 아무도 자신이 이런 인생
을 맞이하기를 바라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신앙의 눈으로 보면 과부 됨과 외
로움을 반드시 불행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과부 되어 외로운 여성이 하나님
과 깊은 영적인 교제를 나눈다면 말이다. 사도 바울이 여기에 소개하는 한 여
성이 바로 그런 사람이었다. 그 여성은 과부 되어 외로운 인생을 살고 있었지
만 하나님께 소망을 두고 주야로 항상 간구와 기도를 하였다.
이 여성은 과부된 후에 그냥 외로운 인생을 살고 있었다. 이 여성은 과부 된
것으로 말미암아 무슨 좋은 일을 만난 것도 아니고, 외로운 인생으로 말미암
아 무슨 즐거운 삶을 얻은 것도 아니
다. 이 여성에게는 새옹지마란 없었다.
하지만 이 여성은 과부가 되어 외로운 나날을 사는 것을 원망하지 않고 그대
로 받아들이고 도리어 그 형편에서 믿음의 길을 차분히 걸어갔다.
인생의 ‘새옹지마’ 기대 못해
이 여성은 하나님께 소망을 두었고, 하나님께 소망을 두고 있는 사람의 모습
이 어떠한지 보여주었다. 이 여성은 하나님께 소망을 두고 있다는 표식으로
밤낮 간구와 기도에 힘을 썼다. 이 여성에게 불행은 그냥 불행이었다. 그러
나 이 여성은 불행에서 행복을 찾았다. 이상한 말처럼 들리지만 불행의 행복
이다. 아니, 조금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불행을 행복으로 승화시킨 것이다.
요즘 들어 자주 곱씹는 말씀이 있다. 잘 이해되지 않다가도 언뜻 언뜻 깨달아
지는 오묘한 말씀이다: “나는 평안도 짓고 환난도 창조하나니 나는 여호와
라 이 모든 일을 행하는 자니라”(사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