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교총, 한국기독교 140주년 기념 심포지엄

0
3

한교총, 한국기독교 140주년 기념 심포지엄

한국교회총연합(대표회장 김종혁 목사, 이하 한교총)이 주최하고, 한국기독교 140주년 기념사업위원회(위원장 소강석 목사)가 주관한 ‘한국기독교 140주년 기념 심포지엄’이 지난 7월 14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교회와 사회, 미래를 향한 성찰과 도전’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심포지엄에 한국교회 지도자들과 신학대학교 교수, 각계 인사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심포지엄 기조강연을 맡은 김종혁 목사는 140주년을 맞은 한국 기독교의 본질과 사명을 성찰하며 다시 복음으로 돌아갈 것을 제안했다.

김 목사는 “오늘날 한국교회는 복음에서 멀어지고 있다”며 그 근본 원인이 단순한 시스템 문제가 아니라 복음의 본질에 대한 신학적 확신의 부재, 하나님 말씀 중심의 목회 철학의 부실, 삶으로 복음을 드러내는 실천의 결핍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복음은 여전히 능력 있는 하나님의 말씀이며, 구원의 유일한 길”이라며 한국교회는 다시 복음과 십자가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교회의 본질과 강단의 회복, 다음세대를 위한 투자, 사회적 책임 감당, 회개와 개혁의 정신 추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이덕주 교수(감리교신학대학교 명예)가 ‘한국기독교 선교 140년 회고와 전망: 자유와 민주, 그리고 평화를 향하여’, 임희국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 명예교수)가 ‘한국기독교 140년의 역할: 공공신학적 사회 책임과 회복 방안’, 김판호 교수(영산신학대학교 총장)가 ‘한국기독교 140년의 도전, 성장과 정체 진단: 다음세대를 위한 교회 혁신 방안 연구’라는 주제로 각각 발제했다. 좌장은 박경수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가 맡았다.

이덕주 교수는 “한국교회의 양적 성장과 물량적 업적, 외적 권위에 매몰된 한국교회의 오만한 자세는 전도와 선교의 장애물이 되었다”며 “그 결과 최근 20년 한국교회의 교세 성장의 둔화와 감소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특히 “최근 10년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교회의 세속화와 일부 교회 지도자들의 윤리적 타락, 교회 권력과 세속 권력의 결탁에 대한 일반 사회의 비판이 급증하면서 여론조사에서 기독교는 비호감도 1위를 기록하기에 이르렀다”며 “한국교회의 과제는 세속적이고 물질적인 탐욕으로 무너진 한국교회의 영적 권위를 회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희국 교수는 “한국 기독교와 교회는 우리나라에서 하나님의 뜻이 민주공화제를 통해 실현되도록 소금과 빛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민주주의의 파수꾼 노릇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판호 교수는 “한국교회의 미래는 계승과 혁신의 긴장 속에서 재구성되어야 한다”며 “교회의 신학은 과거 교리를 반복하는 데 머물러서는 안 되며, 다음 세대가 던지는 존재론적, 윤리적 질문에 신학적으로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논찬에서는 허은철 교수(총신대학교), 지형은 목사(성락성결교회,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이사장), 곽호철 교수(연세대학교 의료원 교목실장)가 발제 내용에 대해 논평했다.

한편 한교총은 한국 기독교 140주년을 맞아 기념식과 칸타타 공연, 다큐멘터리 제작 및 방영, 근대문화유산 탐방 등 다양한 기념사업을 추진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