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MA·기감, 기독교 복음전래 140주년 선교신학포럼

0
2

급변하는 세계선교 속 선교 방향 모색

KWMA·기감, 기독교 복음전래 140주년 선교신학포럼

 

급변하는 세계선교의 흐름 속에서, 한국선교의 신학적 기반과 실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세계선교협의회(사무총장 강대흥 선교사, KWMA)와 기독교대한감리회(감독회장 김정석)는 지난 7월 11일 성남시 분당구 만나교회에서 ‘기독교 복음전래 140주년 기념 선교신학포럼’을 개최했다.

‘세계기독교 시대에서의 선교신학: 한국교회 패러다임의 변화와 도전’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한국교회와 선교학계가 직면한 과제와 새로운 비전을 모색하는 장이 되었다.

이날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구속 역사’를 주제로 발표한 배춘섭 교수(총신대)는 “한국 개신교 140년 역사는 단순히 교회 성장이나 기독교 확장의 역사로 치부할 수는 없다. 오히려 구속사적 관점에서, 한국 교회사는 하나님께서 한국교회를 통해 계획하신 선교적 사명을 성취하는 선교의 주체가 되셨음을 의미한다”며 “한국교회가 세속화와 전통 선교 모델의 한계를 넘어 창의적이고 총체적인 선교적 접근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보경 교수(장신대)는 “선교가 더 이상 선형적인 파송과 확장의 논리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 방식인 ‘미시오 트리니타스(Missio Trinitas)’ 안에서 새롭게 형성되고, 공명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하나님의 선교 기원과 해석 그리고 성찰’이란 제목으로 발표한 김은수 명예교수(전주대)는 하나님의 선교 개념의 역사적 기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한국교회가 잘못 이해해 온 부분들을 짚어냈다. 김 교수는 “하나님의 선교의 진정한 의미는 교회 중심주의도, 단순한 사회참여도 아닌 하나님 주권 아래 있는 선교”라고 강조했다.

‘예배적 선교의 가능성과 과제’를 발표한 배아론 교수(고신대)는 예배가 선교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핵심임을 강조했다. 그는 “성경의 구속사는 본질적으로 예배 회복의 서사이며, 선교는 바로 이러한 예배 공동체를 회복하고 확장하는 하나님의 구원 사역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