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 돋보기] 두려워 말고 믿기만 하라(눅 8:49-56)
이용세 목사(경북노회 율하소망교회)
회당장의 딸이 죽어가는 촌각을 다투는 시간에 혈루증 앓는 여인이 끼어들어 가던 행렬이 멈추며 시간이 지연되고 있다. 그러는 사이에 회당장의 집으로부터 청천벽력 같은 전갈이 왔다. ‘회당장의 딸이 죽었다’는 것이다(8:49). 이 비보를 들은 모든 사람들의 표정이 얼어붙었다. 회당장은 얼굴이 하얘지며 이제 ‘끝났구나’라고 절망했을 것이다. 예수님이 집에 도착할 때까지 부디 살아만 있어 달라는 아버지의 간절한 바람은 거기까지였다. 주님보다 죽음이 먼저 이른 것이다. 예수님이 지체하신 시간은 딸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었다. 그 아까운 골든타임이 지나가 버린 것이다. 이제 무슨 일을 할 수 있단 말인가? 죽어가고 있는 것과 죽은 것은 차원이 다르다. 죽음은 절망이다. ‘딸이 죽었다’는 소식은 이제 다 끝났다는 선고였다. 이제 예수님의 방문도 의미가 없게 되었다. 모든 것이 끝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때 예수님은 절망하는 회당장에게 말씀하신다. “두려워하지 말고 믿기만 하라!”(8:50) ‘지금부터 믿기만 하라’는 것이다. 얼마나 황당한 말씀인가? 동시에 얼마나 희망적인 말씀인가? 얼마나 차원을 달리하는 말씀인가? 주님의 이 말씀은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시려는 말씀이었다. 절망은 예수님의 말씀으로 다시 희망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딸이 죽은 절대 절망이 희망이 될 수 있을까? 제자들도 의심하긴 마찬가지다. 예수님은 이 말씀을 하시고 세 명의 제자와 함께 회당장의 집으로 들어가신다. 다 끝났다고 하는 절망의 자리, 죽음의 권세가 지배하는 곳으로 전능자가 들어오시고 있다.
그러나 모두가 죽음을 보았고, 가족도 그 현실을 받아들였으며, 소녀는 싸늘한 주검으로 안치되어 있는데, 주니은 ‘죽은 것이 아니라 잔다’라고 하신다. 사람들은 비웃는다. 그러나 예수님은 절망을 뚫고 죽음이 장악하고 있는 공간으로 세 제자와 부모를 데리고 들어가신다. 그리고 생명의 주께서 주검과 대면하신다. 율법과 전통에 따르면 유대인에게 주검은 가장 부정한 것이다. 그러나 예수께서 소녀의 손을 잡으신다(54). 그리고 손을 잡고 “아이야 일어나라!”(54)고 명하신다. 그러자 죽었던 소녀가 벌떡 일어난다(55). 예수님이 말씀하시자 즉시 살아난 것이다.
주님은 죽은 자를 살리심으로써 사람들의 통곡을 기쁨으로 바꾸셨다. 사람들의 비웃음을 웃음과 경이로 바꾸셨다. 세상 사람들의 사망 선고를 소생 선고로 교정하셨다. 여기서 우리는 죽음을 정복하는 생명의 주님을 본다. 죽음도 주님에겐 끝이 아니다. 주님에겐 죽음도 한계가 되지 못한다. 우리는 여기서 부활의 주님을 본다. 이는 장차 우리를 살리실 부활의 예고편이다.
이제야 우리는 예수님이 왜 늑장을 부리셨는지 깨닫는다. 제자들과 사람들에게 주님이 죽음도 이기시는 부활의 주이심을 나타내기 위함이었다. 더 큰 은혜를 주시기 위해 그렇게 하신 것이라는 것을 여기까지 와서야 깨닫는다. 우리는 주님과 동행하면서 일이 꼬이고 답답한 상황을 맞을 때가 있다. 그러나 길게 보면 그 뒤에 하나님의 계획하신 더 큰 뜻과 은혜가 기다리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주님은 어떤 일을 하실 때 늦는 일이 없다. 언제나 주님의 때(카이로스)는 정확하다. 주님이 늦어 보이는 것은 우리의 생각이요 우리의 계산이다. 우리의 조급한 판단 때문이다. 우리가 아무리 기도해도 응답이 없을 때가 있다. 사태는 점점 더 악화되고 남은 시간은 없는데 아무런 진전이나 변화가 없을 때가 있다. 이 기간을 지나기가 가장 힘들다. 어려울 때의 기다림은 언제나 힘들고 아프다. 별의별 생각이 다 든다. 그러나 주님이 그 상황을 모르실 리 없다. 우리의 기도를 듣지 못하실 리 없다. 주님의 때가 있는 것이다. 저마다 응답의 타이밍이 있다. 확실한 것은 주님의 때는 언제나 적절하고 언제나 최선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기도 응답이 늦어질 때는 더 큰 은혜를 준비하고 계시는 것이다! 너무 늦어 절망이 지배하게 된 곳에 전능자가 오시고 있다. 죽음의 권세가 지배하는 곳에 생명의 주가 오시고 있다. 다 끝났다고 탄식하는 곳에 창조주가 오시고 있다.
적용질문
1) 이 사건에서 주님이 요구하신 것은 믿음이었다. 믿음은 그의 말씀과 성품과 능력에 대한 신뢰다. 주님은 여전히 “믿기만 하라”고 요구하신다. 두려움과 불확실성 속에서, 불가능해 보이는 문제 앞에서도 예수님의 능력을 신뢰하며 믿음으로 나가고 있는가?
2) 질병과 죽음은 인간의 삶을 장악해 왔다. 그런 비참한 곳에 예수님이 오셨다. 병자를 고치실 뿐 아니라 죽은 자도 살리시는 생명의 주, 부활의 주님은 나의 신앙과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3) 주님의 계획은 언제나 선하며 주님의 시간은 언제나 정확하다. 그렇다면 일이 안 풀리고 지체될 때, 기도 응답이 늦어질 때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떻게 처신해야 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