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회 교직자 수양회 특강] “팬데믹 이후 시대의 목회와 설교”

0
42

“팬데믹 이후 시대의 목회와 설교”

정창균 교수
(합신 명예교수, 설교자하우스 대표)

지난 몇 년간 세계 전체에 닥친 코로나 팬데믹은 어떤 학자의 표현대로 인류 문명사적 변화를 가져온 대사건이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 팬데믹 이후의 시대를 살아가는 목회자로서, 설교자로서 어떻게 목회하고 설교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이 강의를 위한 저의 두 가지 전제를 말씀드립니다. 첫째는 제 강의의 초점은 현상을 정확히 인식하는 데 있습니다. 원인이 무엇이든 책임이 누구에게 있든 우리가 이런 삶의 현장에 던져졌고 우리의 삶이 이것이라면, 이것이 우리 교역자들에게 주는 징조가 무엇인가 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 그 현상을 통해 하나님이 무엇을 말씀하시는가, 우리에게 어떻게 하라고 하시는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합니다.

팬데믹이 주는 징조

팬데믹 이전 사람들은 현대 인류 문명 발전에 대한 자신감에 차 있었습니다.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선 ‘세계화’라는 이름으로 인간의 무한한 잠재력에 대한 강한 신뢰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눈에도 보이지 않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등장했습니다. 온 세계가 충격과 공포에 휩싸였고, 그동안 기고만장하게 인류가 쌓아놓았던 현대 문명의 이기들이 한순간에 무용지물이 되었습니다. 사람들끼리 반갑게 만나 악수하고 대화하는 일상이 무너져버렸습니다. 철저한 분리와 고립만이 생존의 방법이 되었습니다. 저는 이 현상을 보면서 시편 2편을 떠올렸습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의 오만함에 대하여 비웃으시고 분노하신다는 것입니다. 구약시대 바벨탑보다 더 높게 쌓아놓은 현대의 바벨탑을 하나님은 비웃고 계십니다. 인간이 얼마나 나약한 존재인지를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코로나 팬데믹은 지나갔습니다. 그러나 팬데믹 이전의 삶을 회복하는 것이 과연 하나님의 뜻일까 묻고 싶습니다. 이제 한국교회는 고난이 일상화된 삶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우리는 예배를 빼앗겼었습니다. 이제 팬데믹은 지나갔는데 그동안 비정상적인 것들에 익숙해져 버렸습니다. 팬데믹 기간 흩어졌던 교인들이 이후에도 돌아오지 않습니다. 인터넷 예배의 편리함에 젖어 더 이상 공동체 속으로 들어오려 하지 않습니다. 혼자 예배하고 철저한 자기중심이 되어가고 공동체를 위한 헌신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팬데믹의 순기능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교회 부흥의 시대를 구가했던 수많은 행사나 프로그램들이 무용지물이 되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이런 시대를 겪으면서 교회와 성도는 무엇이 가장 중요한 것인지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교회란 무엇인가? 교회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최후에 남는 유일한 것은 무엇인가? 이제 본질로 돌아가고자 하는 강렬한 열망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그 본질은 하나님의 말씀 외에 없다는 것을 교인들이 압니다. 이제 한국교회 앞으로 말씀의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의 목회

첫째로 팬데믹 이후 시대의 목회는 공감 목회입니다. 목회자는 공감 능력을 갖춘 사람이어야 합니다. 우산을 쓰라는 가르침보다 비를 함께 맞아주는 자세를 말하는 것입니다. 팬데믹을 통해 사람들은 불안, 외로움, 소외감, 좌절감, 절망감 같은 사회 심리적 공황상태를 경험했습니다. 그 이후에도 이제 비정상적인 상황이 정상처럼 되어버린 일상의 삶이 우리 앞에 있습니다. ‘함께’가 아닌 ‘혼자’가 더 편해진 세상에서 사람들은 점점 지독한 개인주의와 자기중심이 되어가고 반면에 그로 말미암은 외로움과 우울감, 더 나아가서 그것이 절망과 분노와 혐오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이런 사람들이 교회에 왔으니까 선생의 입장에서 교훈하겠다는 자세보다는 같이 서 있어 주고 공감하는 자세로 목회하고 설교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 말씀 사역에 온 힘을 기울여야 합니다. 청중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설교에 대한 태도와 방식, 설교에 부여하는 비중과 집중력에 있어서 큰 변화를 하셔야 합니다. 말씀의 전문가, 설교의 전문가가 되어야 합니다. 이 말씀으로 교인들을 살려내야 한다는 애정이 있어야 합니다. 설교를 들을 교인들을 떠올리면서 설교를 준비해야 합니다. 내 설교를 사랑하지 말고 내 설교를 들을 교인들을 사랑해야 합니다. 설교도 훈련이 필요하고 공부가 필요합니다. 그것을 숨기거나 부끄러워해서는 안 됩니다.

세 번째는 ‘알곡 목회’를 하라는 것입니다. 교회를 나가서 안 돌아오는 사람보다 교회를 떠나지 않고 묵묵히 지키고 있는 사람들에게 집중하라는 것입니다. 그들은 말씀에 대한 갈망이 있고, 알곡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의 모든 목표 역량과 교회 방침과 교회 비중이 이들을 알곡으로 자라게 하는 일에 최우선 순위를 두어야 합니다. 이 시대에는 더 이상 규모의 목회나, 부흥과 성장을 바라는 목회가 아니라 알곡 목회가 하나님의 의도라고 생각합니다.

개혁주의 신학을 목회와 삶으로
체현해 내는 신령한 목회자

목회자는 실력이 있는 목회자보다 신령한 목회자가 되기를 힘써야 합니다. 실력이 있는 목회자는 교인들이 인정은 하지만 자기의 영혼을 맡기지는 않습니다. 박윤선 목사님이 생전에 하신 말씀 중 기억나는 것이 있습니다. “목사에게 가장 무서운 저주가 무엇인지 아십니까? 평생 은혜 없는 목사로 사는 것입니다” 실력은 넘쳐나는데 은혜가 없고 신령하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말씀과 삶이 따로 노는 것입니다. 우리는 신령한 목회자가 되기를 힘쓰며 또한 신령한 목회자가 되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해야 합니다.

우리는 합신에서 개혁주의 신학을 배웠습니다. 그런데 현장에 나가 개혁주의 교회를 세우기가 쉽지만은 않다는 것을 우리는 경험합니다. 우리의 실력이나 헌신과 노력이 부족하기보다 인간이 악해서입니다. 그래도 해야 합니다. 아무 성과나 효과나 열매가 없어도 그것은 헛수고가 아닙니다. 그것이 옳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명예와 영광은 성과를 이루는 데 있지 않고 성과가 비록 없다 하더라도 고난을 받더라도 그것이 진리이고 옳으니까 견디며 가는 데 있습니다. 우리가 개혁주의 신학을 잘 배웠느니 개혁주의대로 열심히 목회하시기를 바랍니다.